기존 요법·비응고인자 치료법 등 논의

GC녹십자는 지난 22일 명동 르메르디앙 호텔에서 혈우병 전문 의료진을 대상으로 혈우병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심포지엄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심포지엄에서는 대구가톨릭대 소아청소년과 최은진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인하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정아 교수가 '혈우병 치료 환경의 진화'(The Evolving Landscape of Hemophilia Therapy: The Ups and Downs)를 주제로 기존 인자보충요법(Factor Replacement Therapy)과 비응고인자 치료법(Nonfactor Therapy)을 포함한 최신 치료법에 대한 장단점과 특성을 설명했다.

박정아 교수는 "환자의 주요 변수와 상태를 충분히 고려한 치료제를 선택해야 한다"며 "최근 혈우병 치료 영역에서 다양한 신약들이 출시되고 있는 만큼 신약과 기존 치료제들의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환자에게 맞는 최적의 치료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이와 함께 체내 응고인자 수치 별 활동(Physical activity)을 보면 여전히 기존 인자보충요법(Factor Replacement Therapy)이 효과가 있다고 전했다.

최은진 교수는 "비응고인자 치료법과 유전자 요법을 포함해 다양한 혈우병 치료 신약들의 출시가 반갑지만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해 우려되는 것이 사실이라며 환자가 가지고 있는 위험 요소(Risk Factor)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치료 전략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패널 토의 시간에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박영실 교수을 포함한 국내 혈우병 전문의들이 참석해 응고인자 (Factor)와 비응고인자 (Nonfactor) 요법에 대한 최신 치료 지견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특히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혈우병 치료 영역에서 환자를 위한 최적의 관리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해 의료진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는 게 GC녹십자의 설명이다.

GC녹십자 남궁현 국내영업부문장은 "의료현장에서 혈우병 환자가 최적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밤낮으로 고민하는 의료진과 환자 개인별 최적의 치료 옵션의 방향을 함께 생각해보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의료인들이 환자들을 위해 더 나은 진료 환경을 구축하는데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