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AB 계열 전체 1분기 처방액 전년비 54% 증가…펙수클루 성장 주도

대웅제약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P-CAB)인 '펙수클루(성분 펙수프라잔염산염)'가 가파르게 성장하며 치료 패러다임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대웅제약(대표 이창재∙전승호)은 펙수클루가 출시 11개월 만에 누적 처방액 300억원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창재 대표는 "출시 1년도 안돼 300억원을 돌파한 것은 펙수클루가 P-CAB 계열 치료제 중 차세대 대표 주자로 우뚝 섰다는 뜻"이라며 "펙수클루의 성장세가 가파른 만큼 기세를 몰아 올해 안에 1000억원 수준의 매출 달성이라는 목표를 현실화시키고, 나아가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패러다임을 기존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에서 P-CAB으로 바꾸는 '게임체인저'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P-CAB 제제는 기존 PPI 제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 발현과 식이 영향, 약물 상호작용 등을 개선한 차세대 치료제다. 특히 펙수클루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가운데 반감기가 9시간으로 가장 길어 한 번 복용만으로도 약효가 오래 지속돼 야간 속쓰림 증상 등을 현저히 개선시킨 것이 강점이다.

그래픽 / 대웅제약
그래픽 / 대웅제약

의약품 표본 통계정보인 유비스트(UBIST)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출시한 펙수클루의 누적 처방액은 지난 5월 기준 319억원이다. 출시 이후부터 월평균 15%의 성장률을 보인 펙수클루는 일찍이 발매 6개월 차에 100억원, 9개월 차에 200억원을 넘어섰다.

이와 함께 펙수클루는 P-CAB 계열 치료제의 전체 성장에도 힘을 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펙수클루 출시 이전 300억원대에 머물던 P-CAB의 분기별 처방액은 최근 400억원대를 넘어서고 있다. 유비스트 통계에 따르면 펙수클루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 1분기 P-CAB 시장 규모는 477억원을 기록하며 펙수클루 출시 전인 전년 동기(311억원)보다 54% 늘었다.

대웅제약은 펙수클루가 글로벌 위식도역류질환 시장에서 받고 있는 높은 평가를 바탕으로 고성장 행보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지난달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3 소화기질환주간(DDW 2023)'에서 각국의 소화기 전문가들은 펙수클루가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패러다임을 바꿔나갈 것이라는 데 공감을 표하기도 했다.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의 적응증과 복용 편의성을 위한 제형 확대도 추진한다. 현재 확보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급성위염 및 만성위염 위점막 병변 개선 외에도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요법, 헬리코박터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등 관련 임상이 진행 중이다. 여기에 복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물 없이 입에서 녹여 먹는 구강붕해정과 정맥주사(IV)제형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08년부터 13년간 자체 기술로 개발에 성공한 순수 국산신약으로, 주요 5대 강점은 △빠른 약효 발현 △신속하고 우수한 증상 개선 △우수한 야간 증상 개선 △복용 편의성 △낮은 약물 상호작용 및 약효의 일관성 등이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