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통상 협의를 통해 화장품 및 의약품 수출 애로 완화
화학의약품은 최초 수출시만 통관검사 받고 이후 면제돼 비관세장벽 완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중국으로 수출하는 화학의약품과 일반화장품(비특수용도 화장품)의 허가 절차 간소화로 중국 시판까지 걸리는 시간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고 27일 밝혔다.

중국에서 "11월 10일 이후 수입하는 비특수용도 화장품에 대해서는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서 사전 허가 대신 온라인 등록을 완료하면 수입·판매가 가능하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지금까지는 중국에 화장품을 수출하려면 사전에 중국 당국의 허가 심사를 완료해야 하는데, 평균 6~8개월 걸리고 있었다. 하지만, 이달 10일 이후부터는 일반화장품의 경우 온라인으로 제품 등록만 마치면 바로 시판할 수 있어 시장 진입에 걸리는 시간이 최대 3개월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 관계자는 "중국의 일반화장품 수입 관리가 사전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전환됨에 따라 시장 접근성이 개선됐다"며 "특히 유행에 민감하고 제품 수명이 짧은 제품도 적기 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등록 후 시판 중에 사후 심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제품 관리에 소홀함이 없어야 수출이 원활하다.

중국은 우리 측의 화장품 수입 절차 개선 요청을 받아들여 2017년 상하이(上海)를 시작으로 2018년 10개 도시에서 등록제 시범사업을 실시했고, 이번에 전국으로 시행을 확대했다.

한편, 화학의약품 분야에서도 중국은 지난 4월 국가약품감독관리국 공고를 통해, 최초 수입 시에만 통관검사를 실시하고 이후 수입부터는 통관검사를 면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화학의약품 통관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의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지금까지는 의약품을 통관할 때마다 모든 항목을 검사해, 통관에만 2~4주가 소요되는 등 중국 수출에 어려움이 컸다.

식약처는 "이처럼 일반화장품과 화학의약품 대중(對中)수출에서 비관세장벽을 낮추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 것은, 지난 2013년부터 한중 통상협력협의회, 한중 화장품실무협의회, WTO TBT, 한-중 FTA TBT 위원회 등 다양한 통상 채널을 통해 중국의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2017년 기준 對중국 의약품 수출액은 3억 6219만달러(약 4089억원)로 우리나라 의약품 전체 수출액의 9%를 차지했다. 2016년 2억 802만달러보다 1억 5천만달러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