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3 플랫폼 활용해 항체 신약 공동개발

윤경완(사진 왼쪽) 넥스아이 대표가 고준수 아론티어 대표와 인공지능(AI) 기반 항체 신약 공동 연구개발(R&D)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넥스아이
윤경완(사진 왼쪽) 넥스아이 대표가 고준수 아론티어 대표와 인공지능(AI) 기반 항체 신약 공동 연구개발(R&D)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넥스아이

넥스아이는 아론티어와 인공지능(AI) 기반 항체 신약 공동 연구개발(R&D)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윤경완 대표, 손진법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비롯한 넥스아이의 주요 관계자들과 아론티어의 고준수 대표, 손인석 최고전략책임자(CSO) 등이 참석했다.

이번 MOU는 아론티어가 개발한 AI 기반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인 ‘AD3’를 활용해 넥스아이가 개발하고 있는 항체 신약 개발 방식을 AI 기술로 혁신하고, 더욱 효율적이고 정밀한 항체 신약후보물질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윤경완 넥스아이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두 회사는 각각 보유한 기술력을 융합해 항체 신약 개발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AI 기술을 활용해 더욱 정확하고 빠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고준수 아론티어 대표는 "최근 신약 개발은 빅데이터와 이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AI 플랫폼을 중심으로 시작되고 있다. 아론티어는 표적단백질 구조, 후보물질 탐색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기업"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아론티어가 보유한 AI 기반 해석 기술과 넥스아이가 보유한 면역항암제 불응성 유도 인자 등의 데이터 및 전임상 연구 경험을 활용하면 경쟁력 있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넥스아이는 면역항암제 불응성 유도 인자 타깃의 항체 혁신신약(First-in-class) 개발 스타트업이다. 비소세포폐암(NSCLC) 항체신약으로 지난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과제에 선정됐다.

아론티어는 AI 활용 단백질 구조 기반의 혁신신약(First-in-class) 개발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과학기술정통부가 추진하는 '2022년 인공지능 활용 혁신신약 발굴 사업'의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