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치매 67만명, 경도인지장애 254만명... "더욱 증가할 것"
치매 사회적 비용 2060년 43조... 적극적 지원이 오히려 비용 줄인다
2003년 이후 신규 승인된 치료제가 없을 정도로 알츠하이머 치료 환경은 열악하고 미충족 수요가 크다.
대한치매학회 홍보이사인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임재성 교수는 19일 간담회에서 "이러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2세대 항체 치료제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며 "이 치료제들은 증상 완화가 아닌 병을 근본부터 치료하는 약으로 주 치료대상을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또는 '초기 치매' 환자들로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재성 교수는 "따라서 전문적인 진료를 통해 향후 악화 가능성이 있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하지만 경증 질환이라는 오해 때문에 적절한 진단검사와 전문의료진에 의한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대한치매학회는 이러한 치매 치료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한 제반환경 조성 등 의료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국내 65세 이상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수는 2010년부터 10년간 약 3.2배 증가해 2021년에는 67만명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치매의 전 단계라고 흔히 알려진 경도인지장애 환자도 꾸준히 증가해 254만명을 넘었다.
치매는 발병된 이후 치료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부터 치료가 필요하다. 임 교수가 발표한 치료 패러다인 전환 또한 기존 중증완화 또는 중증화 방지를 목표로 치료가 이뤄졌다면 향후에는 약물치료에서 대상이 되지 않았던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치료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점이 강조됐다.
임 교수는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을 대비한 제반환경 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모든 국민이 치매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아말로이드 혈액검사, PET 영상검사, 항체 치료제의 국내 표준화 및 적절한 보험정책 마련 등의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선제적으로 치매 예방 및 관리해 치매친화사회 실현 필요
매년 10~15%의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치매로 진행된다. 치매 환자가 늘어갈수록 치매 관리 비용의 부담도 함께 증가하게 되는데 대한민국의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2013년 11조 7000억원이었으나 2060년에는 43조 2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대한치매학회 정책이사인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과 최호진 교수는 치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치매에 대한 사회적 비용과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의료적 개입과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최호진 교수는 "그동안의 정책적인 노력을 통해서 치매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회적 인프라는 갖추어졌지만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고 공공 기관 위주의 정책 서비스 제공으로 인하여 늘어나는 치매 환자 관리 수요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며 "효율적 치매 관리를 위해 민간 영역의 참여 확대를 유도하고, 치매 전문가 육성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같은 환경 조성을 위해 사회적 부담이 커지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치매의 사회적 부담을 줄이려면 적절한 관리를 통해 질환의 진단과 증상 관리라는 의료적 개입이 필수적"이라며 "치매 예방 및 관리 부분에서 지원을 제공하는 정책으로 전환해 치매 관련 국민이 걱정없이 살 수 있는 치매친화사회 실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