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찐은 뉴스진열대의 줄임말입니다. 제약바이오와 보건의료계 뉴스를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뉴스 공간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통해 개인정보 등을 빼가는 스미싱 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공단에서 발송하는 ‘건강검진 안내 문자메시지’와 유사한 ‘스미싱 문자’가 국민들에게 발송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25일 주의보를 내렸다.

공단은 지난 2, 3월에 검진 대상자에게 우편으로 검진 안내를 했으며, 아직까지 검진을 받지 않은 대상자에게는 올해 말까지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문자 안내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단은 스미싱문자처럼 검진결과통보서를 문자로 안내하고 있지 않다며, 문자내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공단이 실시하는 '건강검진 안내 문자 메시지'에는 공단 대표 전화번호(1577-1000)만 명시하고 인터넷 주소(URL)는 포함되지 않는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국민들이 발신자가 불분명하고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인터넷 주소(URL)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받은 경우 문자를 즉시 삭제하고 모바일 백신 등으로 스마트폰을 주기적으로 검사할 것"을 당부했다.

바이오엔시스템스,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선정

바이오엔시스템스(대표 김종윤, 서정근)가 연구중인 지속형 면역사이토카인 항암 후보약물 파이프라인 'BNS001'이 2021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기반확충연구 지원과제에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지속형 면역사이토카인 항암 후보약물 연구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지원 아래 향후 24개월간 BNS001의 유효성 및 안전성 확보를 최종 목표로 효능평가와 작용기전 연구, 생산세포주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BNS001은 혈액 내 지속력이 개선된 변이형 Fc에 면역관문억제제와 사이토카인이 융합된 이중기능 단백질 면역 항암제다. 해당 항암제는 면역관문 단백질에 의한 면역세포의 활성 억제를 차단하는 동시에 사이토카인으로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종양세포를 사멸하는 이중 작용기전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최근 고유 빅데이터 기반의 약물 발굴 플랫폼과 지속형 Fc 플랫폼을 신약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해 새로운 면역 항암제를 개발 중"이라며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삶의 질을 개선 시키자는 회사 미션을 실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한의학회-베링거인겔하임, 제31회 분쉬의학상 시상식

대한의학회(회장 정지태)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마틴 커콜)은 제31회 분쉬의학상 시상식을 개최, 서울의대 영상의학 이정민 교수에게 본상을 수여했다. 젊은의학자상 기초부문에 연세의대 예방의학 유승찬 중개연구조교수, 임상부문에 연세의대 이비인후과학 나민석 강사가 수상했다. 본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상금 5000만 원, 젊은의학자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상금 2000만 원이 수여됐다.

대한의학회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이 공동으로 제정 및 시상하는 분쉬의학상은 조선 고종의 주치의이자 국내 최초 독일인 의사인 '리하르트 분쉬(Richard Wunsch)' 박사의 이름을 빌어, 한국 의학계의 학술발전을 도모하고 의학 분야에서 한국과 독일의 우호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지난 1990년 제정됐다.

대한종양내과학회, '제 4회 항암치료의 날' 마무리

대한종양내과학회(이사장 김태원)와 대한항암요법연구회(회장 장대영)가 '제 4회 항암치료의 날' 행사를 마쳤다. 대한종양내과학회는 매년 11월 넷째 주 수요일을 '항암치료의 날'로 지정, 항암치료에 대한 올바른 정보 공유와 국내 항암치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항암치료의 날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제 4회 항암치료의 날 행사는 '암이어도 괜찮아, I`m(암) OK'를 주제로 진행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온라인 행사로 진행했으며, 암 환우 및 환우 가족, 학회 관계자 등 약 450여명이 참여했다.

행사는 △제 4회 항암치료의 날 기념식 △건강강좌 : 명의에게 들어보는 진료실에서 못다 한 이야기 △그 암이 알고 싶다 라이브 토크 콘서트 등이 진행됐다.

아이피에스바이오 송지환 대표, 보건복지부 장관표창 수상

아이피에스바이오는 25일 송지환 대표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1년도 보건산업진흥 보건의료 기술사업화 유공 포항'에서 유공자로 선정돼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송지환 대표는 현재 차의과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송 대표는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등 대표적인 퇴행성 신경계질환 환자로부터 수십여종의 유도만능줄기세포주를 구축해 퇴행성 질병의 발병 기전을 연구하고 신약 스크리닝의 기반을 마련했다. 

송 대표는 또 한국인에게 가장 빈도가 높은 상이 10종의 인간 백혈구항원 동형접합(HLA homozygous) 유도만능세포주를 수립해 환자 맞춤형 면역 적합성 세포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송 대표는 이와 같은 보건의료 혁신 창업분야에서 그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영광을 안게 됐다.

엔지켐생명과학, 인도 '자이더스'와 코로나19 pDNA백신 기술이전계약 체결

엔지켐생명과학(대표이사 손기영)과 자이더스 그룹의 카딜라 헬스케어는 세계 최초로 사람에서 효능을 입증한 주사 바늘 없이 접종하는 플라스미드 DNA 백신인 ZyCoV-D 백신을 생산하기 위해 제조 라이선스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약 30000명의 임상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에 따라 ZyCoV-D는 최근 12세 이상의 환자에 대해 인도의 국가규제기관(DCGI)으로부터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았다.

계약조건에 따라 자이더스는 DNA 백신 제조기술을 엔지켐생명과학에 이전하고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엔지켐생명과학은 한국에서 DNA 백신을 제조해 동남아 및 라틴 아메리카에 위치한 중저소득국가들(LMICs)과 한국 정부의 신남방정책에 해당하는 동남아 국가에 수출을 추진하고 자이더스에 라이선스 비용 및 로열티를 지불하는 방식이다. 자이더스와 엔지켐생명과학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내년에 8000만 도스 이상의 플라스미드 DNA 백신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회장은 "이번에 이전 받는 기술을 통해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백신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DNA 백신은 다른 백신들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다. ZyCoV-D는 주사바늘 없이 투여된다. 최첨단 제조시설과 고품질 인력을 통해 LMICs에서 COVID 백신에 대한 전 세계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자이더스와 협력하는 것을 매우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독, 스파크바이오파마에 지분 투자 및 공동연구개발 파트너십 체결

한독(대표 김영진, 백진기)은 스파크바이오파마(대표 박승범)와 30억 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하고 공동연구개발에 대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5일 한독은 "스파크바이오파마에 지분투자를 할 뿐 아니라 모든 암을 대상으로 ‘SBP-101’의 공동연구개발을 진행한다"며 "이번 계약에 따라 한독은 SBP-101에 대한 국내 제품 판매 및 품목 허가권을 확보했고, 스파크바이오파마가 개발하는 치료제의 공동개발 및 사업화에 대한 우선 검토권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스파크바이오파마는 2016년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설립한 바이오벤처로, 독자적으로 개발한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인 △분자 다양성을 가지는 의약유사 저분자화합물 라이브러리 'pDOS' △세포 내 질환관련 표현형 변화를 선택적으로 탐지하는 형광 프로브 기술 'Seoul-Flour' △신약 후보물질의 작용기전을 밝히기 위해 그 표적 단백질을 규명하는 기술 'FITGE' 등으로 저분자 화합물 기반의 혁신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동아ST, 악토넬 정 'RE: BORN' 심포지엄

동아에스티(대표 엄대식)는 24일 골다공증치료제 악토넬 정 'RE: BORN'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동시 진행된 행사에는 서울과 경기, 인천, 강원 지역 의료진이 참여했다.

심포지엄은 동아에스티의 악토넬 정 국내 독점 판매 소식과 함께 제품의 필요성 등을 의료진들에게 소개하고자 마련됐다. 심포지엄 좌장은 가톨릭의대 강무일 교수가 맡았으며, 연세의대 이유미 교수와 울산의대 김범준 교수가 강연을 진행했다.

이유미 교수는 'Rediscovery of bisphosphonate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골다공증 치료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재발견)'을 주제로, 진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현재까지도 골다공증 환자에게 1차 치료제로 권장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역할을 소개했다. 

김번준 교수는 'Distinct features of Actonel and Actonel EC among anti-osteoporotic drugs(골다공증치료제 중에서 악토넬 정과 악토넬 EC정의 특징)'를 주제로, 부작용과 컴플라이언스 때문에 치료중단율이 높은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제의 불편함을 악토넬 정과 악토넬 EC정이 안전성과 속효성 등을 토대로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을 소개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