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원주 LINC+ 사업단 |
'디지털헬스케어와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포럼' 개최
심평원, 디지털 치료기기 건보 적용 방안 일부 소개

디지털치료기기 △제품별 평가 △임시등재·정식등재 등 디지털 치료기기 건강보험 적용에 대한 밑그림이 공개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술등재부 장준호 부장은 18일 '디지털헬스케어와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포럼'에서 건강보험 적용에 대해 고려 중인 사항을 공개했다.

연세대학교 원주 LINC+ 사업단이 주최하고 연세대학교 미래 캠퍼스가 주관해 원주 인터불고호텔 루비홀에서 진행된 이날 행사에서 장준호 부장은 '디지털 치료기기 건강보험 급여 추진방향'을 주제로 디지털 치료기기 평가 방식과 임시등재·정식등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소개했다.

디지털 치료기기 평가...제품별 평가 가닥

장준호 부장은 디지털 치료기기가 기기별로 사용목적과 성능 등이 상이해 기기별 평가와 등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 부장은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방법과 효과가 다양해 같은 적응증에 대한 기기라도 동등성이 확인되지 않을 수 있어 기기별 평가 쪽으로 평가 방안을 고려하고있다"고 설명했다.

 

임시등재, 임상현장 비교평가에 조첨

현재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디지털 치료기기들이 대조군을 위 소프트웨어로 설정하고 있는 만큼, 장 부장은 디지털 치료기기의 절대적 효과를 확인할 수는 있겠지만 현재 사용중인 치료법과 비교는 어려울 것이라 전망했다.

이에 그는 독일,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서 적용중인 임시등재를 국내에 적용한다면 표준치료와 디지털 치료기기 간 임상현장 비교평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

장 부장은 "임시등재가 이뤄질 경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임상현장 비교평가가 진행될 것"이라며 "이때 보상은 원가 기반 수가를 지급하되 상한을 정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정식등재, 분명한 효과 보여야

정식등재를 위한 기준은 △응급실 이용률 감소 △의료기관 방문 수 감소 등 수치로 환산되는 비용효과성 입증이 될 전망이다.

특히 이를 입증할 경우, 디지털 치료기기가 수행한 감소 비용 일부를 인센티브로 지급하는 방안도 함께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지털 치료기기가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환자의 사용 내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는 만큼, 사용률을 반영한 수가지급 등 디지털 치료기기 특색을 반영한 수가체계도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장준호 부장은 환자 자가사용 여부에 따라 치료효과가 결정되므로, 사용률을 반영한 수가 지급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효과 우월성은 있으나 의료비용 절감을 입증하지 못하는 디지털 치료기기 등재 경우에는 사용량을 연계한 가격 조정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이날 행사는 △디지털 치료제와 건강보험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현황과 전망 두 개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국내외 디지털 치료제 개발 및 제도 현황(웰트 강성지 대표) △첨단 융복합 웨어러블 기반의 만성 질환 기술 사업단 소개(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의공학부 정병조 교수) △디지털헬스케어 구축 사례 및 향후 전망(휴레이포지티브 정병조 강원지사장) △디지털헬스케어 의료기기 개발과 사업화(메쥬 조성빌 이사) 주제발표 및 패널토의가 진행됐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