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수립
항생제 사용량 감소·항생제 내성균 6종 혈액분리 건수 감소 목표

국내 인체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항생제 내성 전문위원회 및 감염병 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 8일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항생제는 감염병의 치료제로, 항생제에 듣지 않는 내성균 출현 및 확산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특히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 농·축·수산, 식품, 환경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전파되기에 범부처 대응이 필요하며, 국가 간 인적·물적 교류 과정에서 확산할 가능성이 높아, 국제공조가 필수적이다.

2019년 국내의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3번째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항생제 내성률도 인체 및 비인체 모두에서 선진국과 비교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항생제 내성균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주요 항생제(반코마이신, 카바페넴 등)의 내성률 및 감염 보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요양병원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이 종합병원과 비교해 유의하게 높고, 증가하는 추세다.

때문에 정부는 지난 2016년 '제1차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16~2020)'을 수립해 내성균 감시체계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인체 분야의 경우, 급성 상기도 감염 항생제 처방률이 개선되었고, 항생제 사용량 감소추세가 확인됐다. 또 감염예방관리료가 신설돼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활동을 촉진했으며, 의료기관 시설 기준과 격리실 이용 수가를 개선했다.

정부는 제1차 대책의 이행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해 제1차 대책을 고도화하고 보완하는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21~2025)'을 수립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①꼭 필요한 곳에 항생제 양·종류를 적정하게 사용해,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을 줄일 계획이다.

의료기관이 항생제를 적정 사용할 수 있도록, 항생제 사용 관리 프로그램과 의료기관 항생제 사용량의 분석·환류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② 감시체계 강화와 적극적 감염관리로, 이미 발생한 항생제 내성균 확산을 억제한다.

인체 항생제 내성균 감시체계 통합 활용을 추진하고 비인체 항생제 내성균 검사를 강화해, 내성균 감시체계를 확대하고, 의료관련감염 관리 및 의료관련감염 집단발생 대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 설치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③ 목표 달성을 위해 연구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항생제 내성관리 협력체계를 활성화한다. 

정부는 "이번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매년 상·하반기에 성과지표와 분야별 세부과제를 점검할 예정"이라며 "주기적으로 개최할 항생제 내성 포럼을 통해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는 세부과제를 재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