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종식 의원, 암생존자 편견·차별 해소 정책 마련 촉구
|2021국정감사| 국내 암 생존자가 200만명을 넘어섰지만 우리 국민 50% 이상이 암생존자에 대한 사회 참여나 직장 복귀 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국회 보건복지위 허종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립암센터로부터 제출받은 '암 생존자에 대한 인식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암 생존자와 함께 있는 것은 불편할 것 같다는 답변이 2017년 40.5%에서 2020년 27.1%로 감소했다.
암 예방과 조기검진 확대, 암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2018년 기준 암 상대상존율이 70%를 넘어서고, 5년 넘게 재발하지 않아 완치 판정을 받은 사람이 116만명에 달하면서 부정적 인식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암생존자의 직장 복귀 등 사회 진출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생존자가 사회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2017년 56.7%가 '긍정적'이라고 답했지만, 2020년엔 48.1%로 떨어진 것이다. 사업주일 경우 암생존자를 고용하겠느냐는 질문에는 '고용하지 않겠다'는 답변이 2017년 38.8%에서 2020년 43.8%로 늘었다.
'암을 진단받은 후 직장에 복귀할 경우 업무량이 줄고, 잦은 휴가로 동료들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느냐'는 질문에 2017년 58.7%, 2020년 59%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 같은 인식은 앞서 진행된 암환자 직업관련 연구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암 진단‧치료 이후 고용률을 보면 △유방암 47.6%→33.2% △위암 65.9%→53.4% △폐암 68.6%→38.8%로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은 "지금까지 암치료와 예방이 주요 관심사였다면, 앞으로는 치료 이후 건강관리와 일상생활로의 복귀 등이 화두가 되고 있다"며 "직장 내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이 필수로 진행되는 것처럼 학교나 직장에서 암뿐 아니라 특정 질환, 건강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한 교육을 제도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10대~20대 암생존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사례로 △보험가입 거절 △체육시간 수업배제 △반평균 성적 떨어진다는 이유로 시험을 방해하거나 등교를 막음 △학교에서 소풍‧수학여행 일방적 배제 △일자리 취득 과정에서 군면제 사유 질문 △취업 이후 과거 병력으로 업무 배제 등의 내용이 의원실에 제기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