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4개월부터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제 사용 가능

상당수의 예비부모가 영유아 열 대처법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존슨앤드존슨이 육아강좌 <똑똑 건강 클래스> 참여를 신청한 예비 부모 166명을 대상으로 해열상식을 조사한 결과, 상당수 예비 부모가 신생아 발열 증상과 해열법에 대해 여전히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157명, 무응답 제외) 중 47%(74명)는 체온을 가장 정확하게 잴 수 있는 부위(항문)를 모르고 있었다. 또한 아기가 열이 날 때, 잘못된 옛 속설에 따라 오한이 생긴 아기를 따뜻한 이불로 덮어주어야 한다고 응답한 예비 부모도 22%(35명)를 차지했다.

한국존슨앤드존슨은 예비 부모에게 해열법 등 올바른 육아법을 알리고자 지난 23일 인기 육아강좌 <똑똑 건강 클래스>를 진행했다. 이번 강연을 맡은 소아청소년과 하정훈 원장의 도움말과 함께 많은 예비 부모가 잘못 알고 있는 영유아 주요 육아 상식 3가지를 짚어봤다.

23일, 행정안전부와 한국존슨앤드존슨이 개최한 '스마트한 엄마, 아빠 되기, 똑똑 건강클래스'에 참석한 예비 엄마, 아빠가 강연을 듣고 있다.
23일, 행정안전부와 한국존슨앤드존슨이 개최한 '스마트한 엄마, 아빠 되기, 똑똑 건강클래스'에 참석한 예비 엄마, 아빠가 강연을 듣고 있다.

▶열이 나는 아기에게 시원한 물수건은 역효과, 해열제 준비해야=태어난 아기는 돌까지 10가지가 넘는 예방접종을 받는다. 일부는 접종 후에 발열 증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당황한 초보 부모는 체온을 빠르게 낮추는 것에만 급급해 ‘시원한 물수건’을 사용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다.

실제로 53%(83명)의 예비 부모가 시원한 물수건을 사용하겠다는 응답을 한 점에 대해 하정훈 원장은 “물수건 사용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권장하지 않는다” 며 “아기가 열 때문에 힘들어하면 우선 해열제 사용이 기본이다”고 조언했다. 찬물로 몸을 닦게 되면 아기가 추위에 떨게 되는데, 이 때 근육에서 열을 발생시켜 오히려 체온이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찬물이 피부의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정상적인 열의 발산을 방해할 수 있다.

한편 응답자 중 일부는 물수건 사용 시 ‘위생을 위해 알코올을 섞어 쓸 수 있다’고 대답(21%, 33명) 했는데, 알코올은 피부를 통해 아기 몸에 흡수될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된다.

▶생후 만 4개월 이상의 아기라면 ‘아세트아미노펜’ 단일 성분의 해열제 사용 가능=설문조사에 살펴보면 예비부모들은 아기를 위해 미리 챙겨둘 상비약으로 해열제(94%, 중복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뒤로는 상처연고(60%, 중복응답)와 반창고(29%, 중복응답)를 선택했다.

하지만 일부 예비 부모(26%, 41명) 중에는 ‘생후 만 4개월 이상의 아기라도 돌 전에는 해열제를 먹이면 안 된다’라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로 만 4개월 이후부터는 필요하다면 의료진과 상의 후 어린이 타이레놀 현탁액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 해열제를 신생아에게 줄 수 있다. 다만 어린이 해열제의 성분에 따라 복용 가능한 월령과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꼼꼼히 성분명을 확인해야 한다.

예비부모의 아기 해열지식 설문조사 결과_챙겨둬야 할 것 같은 의약품 (총 157명 대상. 한국존슨앤드존슨)
예비부모의 아기 해열지식 설문조사 결과_챙겨둬야 할 것 같은 의약품 (총 157명 대상. 한국존슨앤드존슨)

하 원장은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 해열제는 생후 만 4개월부터 의료진과 상의 후 복용 가능하다”며 “용법과 용량을 지켜 복용하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제는 위장관 출혈 위험 등 부담이 적은 것이 특징으로, 아이가 구토 했거나 수유를 하지 못해 빈속이더라도 복용할 수 있다. 복용 후에는 15분 만에 빠른 효과를 보이며 6시간동안 효과가 지속된다(12.5mg/kg 맞게 복용 시). 해열제의 형태도 다양해져 아이가 이가 나고, 만 2세 이상이라면 씹어서 먹는 해열제 ‘어린이용 타이레놀정80mg(츄어블정)’을 고려할 수 있다. 알약 포장으로 휴대가 간편해 아기와 외출하는 부모에게 유용하며, 1일 5회(75mg/kg) 이내로 복용해야 한다.

한편 이부프로펜 성분의 소염진통제는 생후 6개월 이상부터 복용할 수 있고, 위장보호를 위해 식후 30분 후 복용해야 한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열 측정, 땀 닦은 후에 귀 고막 체온계 이용해야= 하 원장은 “겨드랑이로 아기의 체온을 잴 경우 땀을 잘 닦고 3~5분 정도 충분히 잘 눌러서 재야 정확하다”고 설명했다. 땀이 묻은 채로 체온을 재면 땀이 마르면서 열을 빼앗아 실제보다 체온이 낮게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그는 “최근 귀 고막 체온계도 많이 발전했고 정확하기 때문에 귀 고막 체온계의 사용을 우선적으로 권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