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0차 미국신경과학회에서 연장연구 결과 발표

오바지오.
오바지오.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Sanofi)의 스페셜티케어 사업부문인 사노피 젠자임(Sanofi Genzyme, 이하 ‘사노피 젠자임’)의 한국 사업부 (대표 박희경)는 최근(4월21~27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 70차 미국신경과학회 연례학술대회(AAN 2018 Annual Meeting)에서 오바지오(Aubagio® 테리플루노마이드, teriflunomide)와 렘트라다(Lemtrada®, 알렘투주맙, alemtuzumab)의 연장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발표된 오바지오의 데이터는 두 건의 임상시험(Teri-PRO 4상, TENERE 3상 연장 연구)에서 약물 치료 만족도 조사(TSQM)를 통해 환자들의 치료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다. 두 연구 결과, 인터페론 제제 치료제에서 오바지오로 약제를 변경한 환자들의 치료 만족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페론 베타-1a 또는 인터페론 베타-1b 요법에서 오바지오 14mg으로 약제를 변경한 환자 28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Teri-PRO 4상 임상시험 결과, 환자들은 치료 시작부터 48주 시점까지 TSQM의 4가지 모든 항목에서 치료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됐다(효과 p=0.0001, 종합 만족도, 부작용, 편의성 p<0.0001). 또한 TENERE 3상 연장 임상시험에서도 인터페론 베타-1a 요법에서 오바지오 14mg으로 약제를 변경한 59명의 환자가 치료 48주 시점까지 TSQM 문항 중 부작용 및 편의성 두 부문(P<0.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 만족도 향상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치료 96주까지 유지됐다(부작용 p=0.0018, 편의성 p=0.0028).

렘트라다는 두 가지 임상시험(CARE-MS I, CARE-MS II)의 연장 연구를 통해 초기 렘트라다 두 코스 치료 과정을 완료한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RRMS) 환자에게 치료 효과가 7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료 7년 차에서 CARE-MS I 임상시험의 렘트라다 치료군 중 37% 및 CARE-MS II 임상시험의 렘트라다 치료군 중 44%는 장애가 개선되었으며, 두 연구 각각의 렘트라다 치료군 중 각각 74%, 69%는 치료 7년 차에서 장애가 진행되지 않았다. 또한 두 연장 연구에서 렘트라다 치료군은 모두 뇌 용적 손실률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