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찐은 뉴스진열대의 줄임말입니다. 제약바이오와 보건의료계에서 나온 단신 뉴스를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뉴스 공간입니다.

한미약품, 매출 2793억원, 영업이익 159억원

한미약품은 올해 2분기 매출 2793억원과 영업이익 159억원, 순이익 83억원을 달성하고 R&D에는 매출대비 13.8%인 386억원을 투자했다고 29일 잠정 공시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14.7%, 영업이익은 49.6%, 순이익은 43.1% 성장한 수치다.

한미약품은 자체개발 제품의 안정적 처방매출 달성과,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의 폭발적 성장이 이 같은 호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먼저 한미약품의 주요 제품인 로수젯(고지혈증치료 복합신약)은 2분기 매출 269억원, 아모잘탄패밀리(고혈압 등 치료 복합신약)는 283억원, 에소메졸(역류성식도염치료제)은 122억원을 달성하며 탄탄한 성장을 지속했다.

특히 로수젯은 상반기 534억원을 달성하며 현재 국산약 최고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아모잘탄패밀리도 출시 이후부터 올해말까지 누적 처방매출 1조원 달성을 예고하고 있다.

북경한미약품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작년의 부진을 극복하고 올해 2분기에 전년 대비 119.9% 성장한 595억원의 매출을 기록, 1분기와 합쳐 역대 상반기 최고 매출을 달성하며 완전한 턴어라운드를 실현했다.

북경한미 주력 제품 중 하나인 '이탄징(진해거담제)'은 전년대비 2678% 성장한 19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어린이정장제 '마미아이'는 147.6% 성장한 136억원, 변비약 '리똥'은 150억원 매출을 달성했다.

한미약품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도 연결회계 기준 2분기 2353억원의 매출과 137억원의 영업이익, 108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하며 안정적 경영실적을 이어갔다. 한미사이언스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4.8%, 순이익은 36% 증가했다.

 

대웅, 매출 2897억원·영업이익 187억원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2021년 2분기 경영실적(연결기준)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1% 상승한 2897억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87억원과 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로 전환했다. 

나보타 매출액은 전년 동기 56억원에서 올해 232억원으로 4배 이상 뛰었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은 전년 동기 794억원에서 8.7% 성장해 올해 195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우루사(전문의약품)·루피어데포주·크레젯 등의 제품군과 포시가·릭시아나·세비카 등의 도입품목 판매량이 증가했다.

일반의약품(OTC) 부문은 전년 동기 296억원에서 올해 286억원을 달성하며 평년 수준 매출을 이어나갔다. 고함량 비타민B 복합제 임팩타민과 간 기능 개선제 우루사(일반의약품)가 안정적인 판매량을 이어나갔다.

R&D 과제를 통한 기술료 수익도 일익을 담당했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신약 펙수프라잔의 미국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포함해 111억원의 기술료 수익이 반영됐다. 펙수프라잔의 글로벌 기술수출 규모는 지금까지 누적 1조원을 돌파한 바 있다.

 

제이브이엠, 매출 271억원·영업이익 33억원 

제이브이엠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71억원과 영업이익 33억원, 순이익 22억원을 기록하고, 연구개발(R&D)에는 20억원(매출액 대비 7.5%)을 투자했다고 29일 잠정 공시했다. 직전 분기와 대비해 매출은 13.5%,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05.6%, 20.8% 증가한 실적이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7%, 21.5% 증가했다.

제이브이엠 유럽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69.7% 증가한 65억원을, 영업이익은 흑자전환되며 5.7억원을 달성했다. 제이브이엠 매출은 국내 58.3%, 수출 41.7%로 균형 잡힌 수익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 제이브이엠의 약국 자동화 분야 국내 시장 점유율은 90%대에 이르고 있으며, 수출 비중은 유럽 27.2%, 북미 10.6%, 기타 지역 3.9%다.

 

티움바이오,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TU2218' FDA 임상 1/2상 신청

티움바이오가 TGF-ß와 VEGFR-2를 동시에 저해하는 면역항암제  신약후보물질 TU2218의 임상 1/2상 계획을 FDA에 신청했다고 28일 발표했다.

티움바이오는 이번 임상1/2상을 통해 TU2218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약력학적 특성 및 단독과 병용요법에서의 항암효과에 대해 평가할 예정이다. 임상1상은 용량증량 코호트 54명, 임상2상은 용량확장 코호트 211명 등 총 265명 대상으로 계획하고 있다.

티움바이오 관계자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에 대해 미국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국내 2개 병원에서도 환자를 모집하여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라며 "국내 병원을 포함한 다기관 임상을 진행하는 것이 물리적 거리를 감안했을 시 보다 신속한 협업이 가능하다는 판단이었다"고 설명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 호주서 면역항암제 YBL-006 1상 용량확장시험 시작

와이바이오로직스는 29일 호주에서 자사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YBL-006'의 임상 1상 용량 확장(Dose Expansion) 코호트의 첫 투약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용량 증가(Dose Escalation)에 이어 용량 확장 코호트도 맥쿼리 대학병원(Macquarie University Hospital)에서 먼저 시작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작년 5월 국내와 호주에서 YBL-006에 대한 임상 1상을 승인받고 용량 상승 시험을 통해 완전관해(CR,)를 확인하는 등 임상을 진행해 왔다. 이번에 호주에서 개시한 용량 확장 시험은 국내와 태국 등을 포함한 글로벌 임상 시험으로, YBL-006의 고형암 치료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다양한 암종에서 검증하며, 약물의 최적 용량을 평가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용량 확장 임상은 약 70명의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YBL-006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자체 발굴개발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면역항암제는 신체의 면역 반응을 유도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방식의 항암제다. 

 

GC녹십자,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구축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생물안전 3등급(Biosafety Level 3, BL3) 연구시설 설치·운영 허가신청서를 질병관리청(이하 질병청)에 제출했다고 29일 밝혔다. 

생물안전등급은 고위험병원체를 취급하거나 실험할 수 있는 연구시설 관리 기준으로, 1~4등급으로 구분되며 등급이 높을수록 고위험성 물질을 취급할 수 있다. 위험도가 높은 3등급 시설부터는 설치 및 운영 관련 질병청의 허가가 필요하다.

GC녹십자가 구축하는 BL3 연구시설은 상시 음압이 유지되고 외부 배출 공기를 헤파필터로 통과시켜 고위험병원체의 외부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또 시험 인원을 보호하는 생물안전장비를 갖춰 조류인플루엔자(AI), 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등 사람에게 감염돼 심각한 증세를 유발할 수 있으나 치료 가능한 고위험병원체를 다룰 수 있다.

 

13가 폐렴구균 백신 접종으로 ‘1년 후 1번 더’ 접종 고려해야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이번달부터 국가예방접종으로 23가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 받은 만 65세 이상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13가 폐렴구균 백신인 프리베나®13의 접종 중요성을 알리는 '1년 후 1번 더'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2020년 의료기관을 통해 23가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만 65세 이상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과거 접종력 및 일자를 확인하고 1년이 지났다면 13가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캠페인 내용을 담은 리플렛과 포스터를 제작, 병의원 대상으로 배포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65세 이상 성인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은 23가 다당질백신과 13가 단백접합백신 두 종류이며, 이 중 23가 다당질백신이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지원되고 있다. 

대한감염학회는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23가 폐렴구균 백신을 1회 접종하거나, 13가 폐렴구균 백신과 23가 폐렴구균 백신을 순차적으로 접종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처음인 만 65세 이상 만성질환자가 두 가지 백신을 모두 접종하는 경우, 1년 이상의 간격을 두고 13가 폐렴구균 백신을 먼저 접종할 것을 함께 권고하고 있다. 만성질환에 속하는 질환은 당뇨병, 만성심혈관질환, 만성폐질환, 만성신질환, 만성간질환이다. 

폐렴구균 백신 접종과 관련해 본인이 대상자인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 먼저 질병관리청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https://nip.kdca.go.kr/irgd/index.html)에 접속하여 23가 폐렴구균 백신 과거 접종력 확인이 필요하다. 단,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접종 여부가 상이할 수 있으니,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 하에 접종을 실시해야 한다.

 

PCL 신속항원검사키트, 유럽 승인 획득

피씨엘의 신속항원검사키트(PCL COVID19 Ag Gold)가 모로코에서 현지 브랜드(Gigalab COVID 19 Ag Gold Salive)로 유럽 승인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은 EC COC(certificate of compliance)로 98/79/EC 규정에 따른 진단의료기기에 대해 유럽 NB(notified body, 허가 전문기관)로부터 정식승인을 받은 것으로, 타액진단키트로는 첫 사례다.

피씨엘 관계자는 "모로코에 원재료를 공급하는 턴키비지니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금일 그 첫 대량물량이 인천공항을 출발한다"고 밝혔다.

피씨엘 타액검사키트는 10분 만에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임상 민감도는 약 94%, 임상 특이도는 99%로 확인되고 있다.

 

루닛, 하버드 의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과의 두 번째 공동 연구 결과 발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이사 서범석)이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매사추세츠종합병원과 진행한 공동 연구에서 영상의학과 전문의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보다 효과적인 흉부 엑스레이 분석이 가능하는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과 루닛 공동 연구팀은 지난해 루닛의 폐 질환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인 ‘루닛 인사이트 CXR’이 흉부 엑스레이에서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악성 폐 결절을 검출할 수 있음을 입증한 바 있다.

루닛 측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단순 정확도뿐만 아니라, 루닛 인사이트 CXR이 실제 의사들의 흉부 엑스레이 판독 효율성에도 영향을 주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본 연구에는 3명의 영상의학과 레지던트와 5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 등 8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루닛은 "미국 국가폐암검진연구(National Lung Screening Trial; NLST)에 참가한 519명의 흉부 엑스레이 진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AI를 활용한 분석이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효율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연구 결과는 지난달 유럽 최고의 영상의학 학술지인 ‘유럽영상의학회지(European Radiology)’에 게재됐다. 

 

심평원 창원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클러스터 동남권 확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창원지원(지원장 김미정)은 29일 지역 대학, 의료기관 및 공공기관과 동남권 보건의료빅데이터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MOU)을 확대하여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은 경남, 울산, 부산지역의 19개 기관이 협력해 초광역 보건의료 디지털벨트를 구축하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앞서 2월 권내 4개 기관 간 다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협력을 도모했다.

협약 내용으로는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역산업 신부가가치 창출 △빅데이터 분석 전문인력 양성 및 창업지원 △산학협력 연구 △워크숍, 세미나 및 심포지엄 공동 개최 등이며, 지역사회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동남권 보건의료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