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77개사 평균 유동비율 176%…명문제약 삼일제약 등 13개사 100%미만

코로나19로 제약기업들의 영업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제약사들은 엎친데 덮친격으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분석됏다.

특히 명문제약, 대화제약, 삼일제약 등 13개는 유동성이 좋지 않아 매각설 등의 악재에 휩싸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히트뉴스(www.hitnews.co.kr)가 상장 제약기업 77곳의 2021년도 1분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평균 유동비율은 170%로 집계됐다.

유동성은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현금비율, 당좌비율, 유동비율의 지표로 측정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영업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제약사들은 엎친데 덮친격으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지적된다.
코로나19로 영업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제약사들은 엎친데 덮친격으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지적된다.

유동성을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인 유동비율은 현금화하기 쉽다고 생각되는 모든 자산을 부채대비 얼마큼 갖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유동비율은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비교해 구해지며, 이 비율이 높을수록 부채보다 자산이 월등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대체로 유동비율은 200%가 이상적이고 그 이상을 초과하게 되면 유동자산을 사용하지 않고 보유만 하고 있다는 뜻으로 수익기회를 상실했다는 측면으로도 해석된다. 반면, 유동비율이 100%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경영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해 매각설 등에 휩싸이는 경우가 있다.

조사대상 기업들의 연도별 평균 유동비율을 살펴보면, 2017년 194%, 2018년 186%, 2019년 176%, 2020년 176%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코로나19가 제약기업들의 유동성 악화에 미친 것으로 분석되는 상황이다.

조사대상 상장제약사중 유동비율이 100%이하인 곳은 13개로 집계됐다.  

명문제약이 65%로 가장 낮고, 대화제약 65%, 삼일제약 69%, 서울제약 75%, 코오롱생명과학 76%, JW생명과학 78%, JW홀딩스 80%, 비씨월드제약 84%, JW신약 86%, 일양약품 88%, 일동홀딩스 96%, 한미사이언스 96%, 국제약품 99% 등의 순이었다.

코로나19 발발이전인 2019년에는 유동비율이 100% 미만인 제약사는 9곳이었다. 

조사대상 업체중 유동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에이프로젠제약 3831%였고, 일성신약, CMG제약, 삼아제약, 에스티팜, 환인제약, 화일약품, 삼성제약, 고려제약 등 9개 제약사의 유동비율이 500%를 넘었다.

코로나 19로 전반적인 경제 침체 상황에서 제약회사들의 유동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