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BMA 장우순 본부장, 제약강국 위한 보험약가제도 개선 주장
"제네릭 가치 제고를 위한 사용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
27일 웨비나에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장우순 본부장은 '제약강국 도약을 위한 보험약가제도 개선' 주제를 통해 "고가 오리지널을 대체해 건강보험 및 환자의 비용이 절감 가능한 제네릭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사용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본부장에 따르면, 약가사후관리 기전은 2007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돼 7가지가 있다.
실거래가 조사, 사용량-약가인하 협상 등의 각 기전에 의해 제네릭의 가격은 더 이상 인하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 의견이다. 또한 약가인하 정책은 일시적인 효과일 뿐 약품비 증가는 사용량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주장이다.
실제 2012년 4월 약가 일괄인하를 통해 1조 7358억원 인하함으로써 건강보험 인상률 2.3%p감소, 약품비 3546억원 감소, 약품비 비중 2.04%p가 줄었으나 2년 4개월만에 약품비가 반등했다.
장 본부장은 "특정질환(고혈압, 당뇨)에서 약가 인하군은 사용량, 약품비가 모두 감소했으나 약가 미인하군의 약품비는 증가해 풍성효과를 가져왔다"며 "약품비 증가요인은 약가보다는 사용량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7월 제네릭 약가제도 개편과 차등제 적용으로 약 15~40% 저렴한 제네릭이 등장하고 있다"며 "재정 절감하는 제네릭 가격 환경은 이미 마련돼 있으니 '사용 활성화' 환경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장 본부장은 급여등재 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설명했다. 특히 R&D 가치를 보전하는 신약의 급여등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제는 신약 가격 기준이 되는 '대체약제'가 사후관리에 의해 지속적으로 인하되 있고, 대체약제 범위에 특허만료로 53.55%로 인하된 오리지널 및 제네릭 약제가 모두 포함되고 있다.
때문에 신약 약가가 대체약제 제네릭보다 낮은 사례가 발생해 R&D 투자 의지를 저하시키고, R&D 성과 및 혁신 가치의 가격보상은 더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에 장 본부장은 "대체약제 범위에서 특허만료약을 제외하거나, 제네릭 등재로 인하된 경우 대체약제 가중평균가를 보정(30%)하는 방법을 제안하면서 정부가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시간과 노력을 통해 개발된 신약의 가치를 국내에서 보상을 받지 못할 경우 수출을 통해서라도 보상을 받아야 하지만 외국에서 국내 약가를 참조하는 사례가 많아서 이 같은 전략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장 본부장은 "독일의 리베이트 제도, 영국의 순이익률 보장제도 등을 참고해 정부가 글로벌 시장에서 가치를 보상받는 것을 용인하고 장려하면서, 자국에서는 가격통제가 가능한 제도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