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찐은 뉴스진열대의 줄임말입니다. 제약바이오와 보건의료계에서 나온 단신 뉴스를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뉴스 공간입니다.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ADC 기술의 주요 실험 결과가 SCI급 국제학술지인 ‘mAbs(impact factor: 4.634)’에 게재됐다고 28일 발표했다.
‘N-terminal selective conjugation method widens the therapeutic window of antibody-drug conjugates by improving tolerability and stability’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해당 논문은 N 말단접합방식 ADC(NTERM-ADC)가 기존 ADC 보다 안정적이고 독성 부작용이 적어 치료용량범위(therapeutic window)를 확장시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이미 출시된 ADC에 적용된 2가지 방법과 NTERM-ADC 기법을 유방암 치료제인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에 적용하여 3가지 ADC를 제조하고 비교했다.
논문에 따르면, 설치류 실험에서 NTERM-ADC가 다른 ADC 물질들보다 반감기가 월등히 긴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방식으로 제조된 ADC를 암컷 쥐에 각각 투여해 14일 동안 혈청 농도(serum concentration)를 관찰한 결과, 기존 방식으로 제작된 ADC의 반감기가 84.6시간 혹은 53.2 시간인데 반해, NTERM-ADC는 무려 118.3 시간으로 나타났다.
NTERM-ADC는 독성 실험에서도 우월한 결과를 보여줬다. 암컷 쥐에게 정맥주사로 투여한 결과, 비교군에서는 간독성과 혈소판감소증이 발생하고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했으나 NTERM-ADC에는 이러한 부작용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통상적으로 독성이 낮으면 효능이 떨어지기도 하나, NTERM-ADC는 해당 실험에서 보여주듯 낮은 독성에도 항암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NTERM-ADC는 트라스투주맙 저항성 종양세포주를 이식한 설치류 모델에서 2.5 mpk(mg per kg) 투여시 종양의 완전 소실을 유도했으며, 이보다 낮은 용량인 1 mpk에서도 4일차부터 21일차까지 92%의 TGI(암세포성장억제율, tumor growth inhibition)를 보였다.
에이비엘바이오의 해당 기술은 미국, 한국, 호주 등에 특허 등록됐으며 회사는 해당 기술을 적용해 희귀혈액암 치료제인 ABL201을 개발했다.
싸이티바-서울대학교, 바이오 산업 육성 위한 산학 협력 추진
싸이티바 코리아(대표 최준호)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학장 이준호)이 27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501동 226호실에서 국내 바이오 산업 전반의 발전과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싸이티바와 서울대학교는 기술 자문, 연구 장비 제공, 학술 교류 등의 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원내에 생물학적 연구에서부터 백신과 바이오 의약품 개발을 돕는 다양한 장비가 설치된 연구실을 마련한다.
여기에는 기초 생물학적 연구와 의약품 개발을 가능케하는 싸이티바 제품 외에도 모기업인 다나허 그룹(Danaher Corporation) 내 생명공학부문 3개 계열사의 최첨단 장비들도 포함한다.
서울대학교와 싸이티바는 이 곳을 통해 대학내 학과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제약 바이오 분야 스타트업을 포함한 기업체를 대상으로 제품 실무 교육이나 세미나 등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한국파마, 제넨셀과 관절염 천연물약 개발… 하반기 2상 목표
한국파마(대표이사 박은희)는 제넨셀(대표이사 정용준)과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공동 개발에 나선다. 올해 하반기 임상 2상에 진입할 계획이다.
28일 한국파마에 따르면 제넨셀은 관절염 치료제 개발을 위한 동물모델 실험 결과, 코로나19와 대상포진 임상 연구로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생약재 담팔수 원료의 유효성이 입증됐다. 양 사는 원료, 완제품 생산, 제형 연구 및 임상시험 등 개발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해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제넨셀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임상2상 IND 신청할 예정"이라며 "담팔수 원료는 대상포진 적응증에 대한 국내 임상1상을 마친 상태로, 관절염 적응증은 비임상 시험 후 곧바로 임상2상 진입이 가능해 개발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파마 관계자는 "관절염 치료제 권리확보와 시장확대, 성공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치료제, 대상포진 치료제 개발 등 천연물 신약 개발 경험이 있는 제넨셀과 공동으로 연구하게 됐다"며 "현재 다소 침체되어 있는 국내 천연물 신약 개발에 활력이 더해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현재 대표적인 복합 생약 제제 관절염 치료제는 연간 400억 원대 이상 매출을 기록한 조인스정과 레일라정, 신바로정 등이 있다.
GC녹십자랩셀, 1분기 매출 273억 · 이익면에서 '흑자 전환'
GC녹십자랩셀(대표 박대우)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273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79.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흑자전환했다. 각 분기 최대치인 37억원, 49억원을 기록했다.
검체검진 사업은 검체 검진 수요가 늘어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81.7% 상승했다. 사업 확장 중인 바이오물류 사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 가량 매출이 늘었다. 임상시험 검체분석 사업을 담당하는 연결 자회사 지씨씨엘도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4%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수익성 지표도 향상됐다. 원가율 개선에 힘입어 매출총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9.4%p 개선됐다. NK세포치료제의 미국 현지 개발을 담당하는 아티바에게 기술 이전료가 꾸준히 인식되고 있는 점도 수익성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올해 1분기 연구개발 상황을 살펴보면, 미국 MSD로 CAR-NK 세포치료제 플랫폼을 기술수출했다. 이와 별도로 AB202(CD19-CAR-NK) 파이프라인을 아티바로 기술이전 하며 R&D 역량이 강화됐다.
회사 관계자는 "검체 검진 사업 성장세가 뚜렷하고, NK세포치료제의 미국 현지 개발에 따른 기술 이전료 추가 유입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견조한 성장 기조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비케어, 1분기 매출 264억… 의료기기 유통 부문 소폭 상승
유비케어(대표 이상경)는 연결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26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0.7% 감소한 것으로 28일 잠정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3억원, 당기순손익은 87억원을 기록했다.
회사측은 모회사인 녹십자헬스케어로 건강관리 사업 부문을 양도하면서 매출이 소폭 감소했지만, 코로나19로 위축됐던 대면 영업활동이 정상궤도에 오르며 유통 부문의 외형 성장을 이뤘다고 밝혔다.
사업 부문 별 매출을 보면, 병·의원/약국 대상의 EMR(전자의무기록) 부문 134억원, 의료기기 유통 부문 108억원, 제약·데이터 부문 22억원을 기록했다. X-Ray 등 의원용 의료기기와 약국용 자동 조제기 '유팜오토팩' 판매실적이 개선됐다.
유비케어 관계자는 "사업 확장으로 인한 신규채용 확대 및 본사 소재지 이전 등으로 판매관리비용이 증가했지만, 유통 사업이 코로나19 영향권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며 "2분기에는 '신진료실'과 클라우드 EMR 'Wi chart' 등 EMR 신규 제품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약품 "국내 공급 예정된 '사전피임약' FDA 품목허가"
현대약품(대표 이상준)은 국내 독점 공급계약을 맺은 사전피임약 '에스텔'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게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이 피임약은 벨기에 제약사 미트라(MITHRA)사의 5세대 경구용 복합제다. 합성 에치닐에스트라디올이 아닌 천연 에스트로겐 성분 '에스테트롤'을 포함한 제품이다.
현대약품은 지난 2018년 에스텔 국내 라이선스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미트라사는 에스텔을 미국에서 '넥스트스텔리스'라는 브랜드로 판매할 예정이다.
유영제약 "코로나19 혈액난 극복위한 헌혈 봉사 실천"
유영제약은 지난 27일 서울 서초구 방배 사옥과 진천공장에서 대한적십자 헌혈차량을 이용해 헌혈봉사에 나섰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혈액 부족 문제를 돕기 위해서다.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진행했으며, 임직원 총 40여 명이 참여했다. 이를 통해 모인 혈액은 헌혈 수급을 필요로 하는 의료기관에 공급될 예정이다. 유영제약의 '사랑나눔 헌혈 봉사'는 대한적십자사와 연계해 2012년부터 매년 진행하는 유영제약의 사회공헌 활동이다.

유영제약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혈액 수급이 위기 상황인 가운데 수혈이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일에 동참하게 됐다"며 "유영제약도 헌혈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코로나19 위기극복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