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시험서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감소… 동물효력시험 준비

휴온스(대표 엄기안)의 흡입형 천식치료제 '제피러스(성분명 부데소니드, 살메테롤)'가 세포 시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효력을 확인, 동물효력시험을 준비하면서 내달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할 계획이다.

엄기안 대표는 17일 "부데소니드를 함유한 제피러스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높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에 거는 기대가 크다. 동물효력시험 결과를 신속히 확보한 후, 국내 임상에서 유효성을 입증해내겠다"고 밝혔다.

휴온스에 따르면 회사는 세포 시험에서 'COVID-19 GH type 변이 바이러스'가 감염된 인체 폐 상피세포주에서 제피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감소를 확인했다. 

부데소니드 단일처리 대비 제피러스 처리 시 최대 39%까지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연구진이 코로나19 환자 대상으로 천식치료제인 부데소니드에 대한 임상 2상을 진행한 결과 증상 발현 후 7일 안내 흡입 시 응급 치료를 받거나 입원 위험이 9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제피러스는 부데소니드와 살메테롤 조합의 복합제라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는 게 휴온스 설명이다.

제피러스는 벨기에 SMB사의 흡입형 치료제로 휴온스가 국내 도입, 허가권을 갖고 있다. 폐의 염증을 완화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ICS)계열의 '부데소니드(미분화)'와 기관지 확장 효과가 있는 지속성 베타 2-항진제(LABA)계열의 '살메테롤' 복합제다.

한편 휴온스는 지난해 11월 신종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고려대학교의료원과 코로나19 및 항바이러스치료제 공동연구 협약(MOU)을 체결, 코로나19 등 10여 종의 항바이러스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