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찐은 뉴스진열대의 줄임말입니다. 제약바이오와 보건의료계에서 나온 단신 뉴스를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뉴스 공간입니다. 

일동제약그룹, 상반기 신규 채용… 오는 23일까지 원서 지원

일동제약그룹이 상반기 신규 채용을 한다. 일동제약은 연구개발, 생산, 품질경영, CHC(컨슈머헬스케어), ETC(전문의약품) 등에서 신입과 경력직을 모집한다.

일동제약그룹 2021년 상반기 수시채용 포스터 
일동제약그룹 2021년 상반기 수시채용 포스터 

연구개발 부문의 경우 ▲임상전략 ▲임상통계 ▲임상자료 관리 ▲약물동태 연구 ▲제형 연구 ▲품질 및 분석 연구 ▲히알루론산 연구 ▲해외 라이선싱 등과 관련한 연구원 및 실무자를 뽑을 예정이다. 생산과 품질경영 부문은 ▲의약품 생산관리 ▲의약품 품질보증 ▲품질관리 ▲환경관리 등의 업무자를 채용한다.

CHC 부문은 약국영업 담당자, ETC 부문은 온라인플랫폼 '후다닥' 개발과 운영자를 선발할 계획이다. 각 직무 분야에 따라 전공 및 학위, 관련 면허 및 자격증, 업무 경력, 영어 등 외국어 능력을 요하거나 우대하므로 지원 시 세부 채용 요강을 참고해야 한다.

일동홀딩스의 계열사인 신약 개발 회사 아이디언스는 ▲임상시험 관리 ▲의약품 안전성 관리 업무를 담당할 경력자를 모집한다. 의학, 약학, 간호학, 자연과학 등 직무와 연관된 학문을 전공한 사람, 약사 면허와 같은 자격증, 영어 능력 등의 요건을 갖춘 사람을 우대한다.

원서 지원 기간은 오는 23일까지이며, 자세한 사항은 일동홀딩스 및 일동제약 홈페이지의 '채용'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램시마SC' 프랑스 출시… 유럽 판매확대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피하주사(SC)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를 이달 초 프랑스에서 출시했다. 지난 11일 현지 언론사를 초청해 출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셀트리온헬스케어 자가면역질환치료제 '램시마SC'
셀트리온헬스케어 자가면역질환치료제 '램시마SC'

이날 행사에는 ▲유럽염증성장질환학회(ECCO) 회장 ▲류마티스 전문의 ▲셀트리온헬스케어 프랑스법인 소속 전문의가 참석해 램시마SC 임상 데이터를 소개하고 프랑스 출시 의미를 발표했다.

램시마SC가 겨냥하는 프랑스 자가면역질환 시장은 약 1조1000억원 규모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최근 당국 최대 규모 대학병원 연합인 '유니하(UNIHA)' 입찰에서 인플릭시맙 수주에 성공해 '램시마IV(정맥주사 제형)'를 공급하기로 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램시마SC' 출시로 기존 IV제형과 함께 환자 상태에 따른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올 1분기에 스페인, 이탈리아에 런칭하여 유럽 주요 5개국 제품 출시를 마칠 계획"이며 "같은 시기 벨기에, 포르투갈, 핀란드 등으로도 출시를 확대해 '램시마SC' 판매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JW중외제약, 최면진정제 '제이세덱스주' 출시

JW중외제약이 덱스메데토미딘 성분의 최면진정제 '제이세덱스주'를 출시, 마케팅 활동에 돌입했다. 제이세덱스주는 인공호흡, 수술‧시술 시 환자의 진정에 사용되는 비 향정신성의약품 진정제다. 

덱스메데토미딘 제제는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alpha2-adrenoceptor)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안정적인 호흡과 진정 효과를 유도하며, 병용 투여되는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량을 낮춰주는 특징이 있다.

이 제품은 프리믹스(Pre-mix)로 생리식염수와의 추가 희석 과정이 필요 없어 사용 편의성을 높였으며, 희석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 오염 등 위험은 감소시켜 안전한 투여가 가능하다. 폴리프로필렌(PP) 용기가 적용돼 알루미늄 용출과 파손 위험성을 줄였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제이세덱스주는 얕은 진정(light sedation) 및 중증도 진정으로 인공호흡 중인 환자의 빠른 회복에 도움을 주는 약"이라며 "앞으로도 수액제 시장의 리더로서 환자를 위한 치료제를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광동제약, 진해거담제 '푸로스판시럽' 파우치 선봬

광동제약 진해거담제 '푸로스판시럽'
광동제약 진해거담제 '푸로스판시럽'

광동제약(대표이사 최성원)은 아이비엽 성분 진해거담제 '푸로스판 시럽'의 조제용 파우치 제형을 17일 출시했다. 

푸로스판 시럽은 독일 엥겔하트(Engelhard)사가 생약 성분으로 개발, 지난 1950년 최초 시판 후 세계 90여개국에서 연간 4000만건(2019년 기준) 규모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푸로스판 시럽은 기존 200ml 병 제품에 이번 조제용 파우치 제형을 추가로 출시하면서 소아 및 성인 모두의 복용 편의성을 고려한 제품라인을 갖추게 됐다.

푸로스판 시럽의 주성분인 '아이비엽30%에탄올건조엑스'는 만성 염증성 기관지 질환의 증상을 개선하고 기침을 동반한 호흡기 급성 염증을 완화해준다.

생약 성분 시럽제로 2세 이상 소아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액상형 제품으로 체내 흡수가 빠르다. 파우치 제형은 1포씩 개별 포장돼 있어 휴대도 간편하며 산뜻한 체리향을 첨가해 부담없이 복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광동제약 관계자는 "푸로스판 시럽은 발매 후 70년 이상 전세계적으로 임상과 연구를 통해 효과가 검증된 제품"이라며, "기존 병에서 덜어 복용하는 제형에 1회용 파우치 제형을 더해 연령에 따른 복용 편의성을 높였다"고 했다.

 

한미약품 "하루 비엘비 한 알로 더 나은 하루 보내세요"

한미약품(대표이사 우종수·권세창)이 고함량 활성형 메가비타민 '비엘비정'을 출시했다. 비엘비정은 육체피로 해소에 도움을 주는 고함량 활성형 벤포티아민 110mg와 체내 에너지 합성에 도움을 주는 리보플라빈 100mg, 탄수화물 대사에 도움을 주는 피리독신염산염이 100mg가 함유됐다.

한미약품 고함량 활성비타민 '비엘비정'
한미약품 고함량 활성비타민 '비엘비정'

이 외에도 비타민C와 코엔자임Q10, 비타민D, 아연, 셀레늄 등 19종의 영양성분이 함유돼 불균형한 생활 습관 속 현대인들의 균형있는 영양 공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복용 편의성을 높여 하루 한 알로 육체피로와 체력저하, 근육·관절·신경통을 관리할 수 있으며, 만 8세 이상 연령층에서 모두 복용 가능하다. 비엘비정은 '더 나은 비타민, 더 나은 하루(Better Life with Vitamin)'의 앞 글자를 따 지은 이름이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피로를 호소하는 현대인들이 늘고 있다"며 "비엘비정은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필수 영양 성분을 하루 한 알로 균형감 있게 복용할 수 있는 현대인 맞춤 비타민"이라고 했다.

이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으로, 의약품 영업마케팅 회사 온라인팜(대표이사 우기석, 한미사이언스 계열사)을 통해 전국 약국에 유통된다.

대구시약사회, 위기 청소년 돕고자 성금 1000만원 전달 

대구시약사회(회장 조용일)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위기 청소년 지원 성금 1000만원을 대구청소년자립생활관과 비영리단체인 별을 만드는 사람들에 지난 16일 전달했다.

대구시약사회(회장 조용일)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위기 청소년 지원 성금 1000만원을 대구청소년자립생활관과 비영리단체인 별을 만드는 사람들에 지난 16일 전달했다. (사진제공=대구시약사회)
대구시약사회(회장 조용일)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위기 청소년 지원 성금 1000만원을 대구청소년자립생활관과 비영리단체인 별을 만드는 사람들에 지난 16일 전달했다. (사진제공=대구시약사회)

이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 청소년 지원을 위해 마련됐다. 성금은 대구청소년자립생활관 등 도움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청소년에 쓰일 예정이다. 대구시약은 지난 2016년부터 청소년의 자립준비를 위한 멘토링, 자존감 향상, 사회 연계 활동 등을 돕고 있다. 

멘토로 참여한 약사들은 청소년들 꿈을 키워주고,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대인관계 증진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무한 도우미' 역할을 하고 있다.

조용일 대구시약사회장은 "어려움을 딛고 일어서려는 청소년들의 자립을 돕고, 희망과 열정을 품을 수 있도록 대구시약사회가 친구처럼 동행하겠다"고 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