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제약강국 도전', 녹십자 '위기는 기회', 대웅 '혁신' 등

코로나19 상황을 맞는 제약사들의 새해 목표 키워드는 '혁신'과 '도전'으로 압축된다.

제약회사 대표들은 4일 열린 시무식에서 코로나19로 급변한 환경에서 혁신 의지를 다짐하고 '제약강국을 위한 도전', '생명의 이치 연구' 등 기업 비전을 제시했다.

(왼쪽) 4일 한미약품 마케팅사업부 임직원들이 방역 수칙 준수 하에 온라인 시무식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작은 사진들은 시무식 영상 주요 장면 갈무리.
(왼쪽) 4일 한미약품 마케팅사업부 임직원들이 방역 수칙 준수 하에 온라인 시무식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작은 사진들은 시무식 영상 주요 장면 갈무리.

한미약품그룹  송영숙 회장은 "제약강국을 위한 끝없는 도전, 새로운 다짐"을 2021년 그룹 경영슬로건으로 선포했다. 

송 회장은 서울 송파구 본사 인근에 제2의 한미타워를 건립해 직원들을 위한 한미어린이집과 임직원용 피트니스센터 등을 설치하겠다며 새 복지시설과 제도 마련에 힘쓰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송 회장은 "임직원들의 삶에 든든한 울타리가 돼 주는 회사, 더 행복한 한미약품을 만들겠다"며 "제약강국, 글로벌 한미라는 비전을 향해 흔들림없이 나아갈 수 있도록 묵묵히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GC녹십자 별도 행사없이 경영진 메시지를 온라인으로 공지했다. 허은철 사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회사가 되도록 항상 깨어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GC녹십자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 개발과 차세대 치료제의 글로벌 공략,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고도화와 혈액제제, 백신 주력사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전승호 대웅제약 사장이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대웅제약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전사적 역량에 집중하기로 했다.

대웅제약은 2021년 경영 방침으로 ▲고객 가치 향상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 ▲K-Pharma 글로벌 리더 도약 ▲도전과 변화를 주도하는 인재육성을 제시했다.

전승호 회장은 "올해 대웅제약의 신약 개발 성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임직원들에게 "글로벌 임상 시험 중인 코로나19 치료제를 비롯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프라잔', 당뇨병 신약 '이나보글리플로진' 및 난치성 섬유증 신약, 자가면역질환 신약 등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이 글로벌 시장의 블록버스터로 활약하도록 역량을 강화할 것"을 당부했다.

창립 80주년을 맞는 종근당 이장한 회장은 "'약업보국(藥業保國)' 정신으로 한국 제약산업 현대화를 이끈 창업주의 신념을 계승해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K-Pharm의 도약을 이끌어 나가자"고 했다.

올해 경영목표는 ▲성장동력 발굴 ▲스마트경영 구축으로 이 회장은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마인드로 변화를 주도하고 도전과 혁신으로 대도약의 전기를 마련하는 한 해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보령제약 안재현 대표는 ▲5대질환 연구개발 및 투자 ▲오픈이노베이션 강화를 통해 '국내 항암제부문에서 리딩기업'을 올해 사업 목표로 제시했다. 10주년 맞은 카나브의 매출 1100억원 달성과 예산캠퍼스 가동률을 조기에 올려 제조경쟁력도 키우겠다고 밝혔다.

안재현 대표의 신년사
안재현 대표의 신년사

안 대표는 기업 문화에 '미래를 향한 도전, 열정, 성취'를 접목시켜 성공 DNA가 장착된 'BR 신문화' 구현을 당부했다. 기존 기업 문화는 ▲배려 ▲온화 ▲정정당당함이었다.

2021년 경영방침으로 ▲지속적인 미래성장동력 발굴 및 투자 ▲출시 10주년 카나브 신화 완성 ▲성공DNA 장착으로 보령 신문화 구현 ▲제조경쟁력 강화로 정했다. 따라서 ▲고혈압 ▲고지혈 ▲항암 ▲당뇨 ▲CNS(central nervous system 중추 신경 계통)에 대한 연구개발 및 투자를 강화할 방침이다.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공동프로모션을 진행해 '카나브패밀리'의 성장을 확대시킬 예정이다.

대화제약 신약개발에 집중하고 제형 변경과 치료 편의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편리하게 복용 가능한 약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의 'Dispense in Handy'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4대 전략으로 ▲영업 역량 강화 ▲해외 사업 확대 ▲연구개발 역량 강화 ▲Smart Factory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연제약은 새로운 기업 CI를 시무식에서 공개했다.
이연제약은 새로운 기업 CI를 시무식에서 공개했다.

이연제약 65년 간 '생명의 이치를 연구하는 제약기업'이라는 기업 이념과 글로벌 바이오·케미칼 제약기업으로 제2의 도약하겠다는 의미의 새로운 기업 CI를 시무식에서 공개했다. 투명하게 개방된 알파벳 'R'은 'endless R'로 연구, 회복, 관계를 상징한다.

유용환 이연제약 대표는 지난해 선포한 기업 비전 'BEST till 2023' 달성을 위한 진행 현황을 점검하고 새해 목표를 공유했다.

삼진제약 장홍순·최용주 대표는 "2021년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이를 극복하고 성장의 결실을 맺기 위한 시점이며, 각 부문별로 다시금 심기일전하는 자세로 성장하기 위한 지혜를 모으자"고 당부했다.

새롭게 시작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이 시장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임직원의 많은 관심과 노력을 당부했다. 또, 의약품 부문과 컨슈머헬스 부문에서도 시장 분석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주문했다. 

연구개발 부서에서는 올해 신축이전하는 마곡 중앙연구소에 정착하고 이에 걸맞는 가시적인 연구개발 성과 창출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동성제약 새해 핵심 목표로 ▲온라인 사업 분야 강화 ▲해외 수출 확대를 제시했다. 온라인 채널 별로 맞춤화된 전략을 구사해 사업 확장을 이어가면서 해외 시장에서 화장품 '동성 랑스', 염모제 '이지엔'의 입지를 넓힐 계획이다. 

이양구 대표는 "자사 핵심 사업인 '광역학 치료 연구개발'이 췌장암에 복강경을 이용한 연구로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나제약 이윤하 대표는 마취제 신약 '레미마졸람'이 연내 국내 허가될 것으로 내다봤다. 레미마졸람은 미다졸람과 레미펜타닐의 장점을 결합한 신약이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시판 승인을 받았다.

하나제약은 지난 2013년 독일 파이온과 레미마졸람의 한국 임상 3상 진행에 대한 개발권과 국내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2018년 10월까지 12개 대학병원과 진행한 국내 임상에서 레미마졸람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뒤 지난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약으로 허가 신청했다.

이윤하 대표는 "레미마졸람의 동남아 주요 6개국 허가와 해외 의약품 제조 기준에 부합하는 하길 주사제 신공장 준공으로 회사의 글로벌 진출 역량까지 확인받자"고 강조했다.

유영제약 유우평 대표
유영제약 유우평 대표

유영제약 유우평 대표는 "유영제약은 기업가치 업그레이드 전략에 따라 중장기 플랜을 세우고 재무구조 개선, 생산성과 이익증대 등 건강한 경영체질 혁신을 통해 질적 성장의 발판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유 대표는 "더욱 적극적인 R&D 신약개발과 생산 투자로 지속해서 미래 가치를 높여가는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장기적 플랜에 따라 각 조직이 본연의 역할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책임을 다하여 성과를 달성하도록 현장에서 적극 지원해서 유영의 건강이 바로 유영인의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경험하는 한 해가 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