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찐은 뉴스진열대의 줄임말입니다. 제약바이오와 보건의료계에서 나온 단신 뉴스를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뉴스 공간입니다. 

'한미참의료인상'에 김우정 헤브론의료원장, 비전케어 선정

한미약품(대표이사 우종수·권세창)과 서울시의사회(회장 박홍준)가 공동 제정한 '한미참의료인상' 올해 수상자로 헤브론의료원 김우정 원장, 수상단체로 사단법인 비전케어가 각각 선정됐다. 올해 19회를 맞이한 한미참의료인상은 의료봉사 활동을 펼치는 의사 및 의료봉사단체를 발굴한다는 취지로 2002년 제정됐다. 

(왼쪽부터) 김우정 헤브론의료원장, 사단법인 비전케어 (사진제공=한미약품)
(왼쪽부터) 김우정 헤브론의료원장, 사단법인 비전케어 (사진제공=한미약품)

이번 수상자인 김우정 원장은 2007년 캄보디아 프놈펜에 NGO병원인 해브론의료원을 설립해 연간 6만여명의 환자를 진료하며 현지인의 보건의료 향상에 기여해왔다. 캄보디아인에 의한 병원 경영을 위해 현지 의사를 채용해 훈련시키고 있으며, 간호대학을 설립해 현지 의료인력을 양성하는 등 캄보디아 보건인프라 구축에도 기여하고 있다.

수상단체 비전케어는 39개 개발도상국 안질환자들을 대상으로 326회의 무료 안과진료와 수술을 진행하고, 환자들에게 안경을 무료로 지원해왔다. 현지 안과의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30여명의 안과의사를 초청, 연수도 진행했다. 이와 함께 WHO 산하 '국제실명예방위원회' 협력단체로도 활동하며 세계적 보건환경 개선사업에 협력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맞아서는 14개국에 방역용품, 위생용품, 생활용품을 제공하는 긴급구호 활동도 벌였다.

 

휴온스메디케어, 방역살균 무인로봇 개발 추진

휴온스메디케어(대표 이상만)가 최근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 참여 기업'에 선정돼 비대면 방역·살균에 최적화된 이동식 협동로봇 개발에 나선다. 특구 지역내 연구소를 만들고 지난해 지분투자해 전략적 파트너십 체계를 갖춘 IT벤처 '제타뱅크(대표 최동완)'와 협업해 사업을 추진한다.

이동식 협동로봇은 로봇이 이동하면서 바코드를 읽고 전산시스템에 등록을 하거나 도색, 사출, 살균∙방역 등의 준비공정을 작업한다.

휴온스메디케어는 이동식 협동로봇을 활용한 '비대면 열화상 감지 방역∙살균 서비스 로봇'이 개발되면 감염 의심자를 선별하고, 바이러스가 확산된 지역에는 무인으로 로봇을 투입시켜 방역 및 살균 작업이 가능해져 바이러스 확산 예방 효과 또한 높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화이자제약, 여성가족부 '가족친화기업' 선정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2020 가족친화인증'을 지난 1일 획득했다.

‘가족친화인증’은 자녀 출산·양육 지원, 유연근무제도, 성평등문화 확산 등을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기관에 주어지는 인증 제도로,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한국화이자제약은 다양성과 포용(Diversity & Inclusion) 가치를 바탕으로 임직원들의 일·가정 균형을 지원하고 이를 위한 제도를 적극 도입하기 위해 ‘Pfizer Korea 일가정 양립지원 가이드(Work & Life Balance Guide)’제작 및 배포, 자사 유연근무제인 ‘SMART Work’ 시행, 패밀리 데이 운영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을 통해 선진화된 기업 문화를 구축하고 건강한 업무환경을 조성했다. 

 

엠디뮨 배신규 대표, 산업부장관상 수상

배신규 엠디뮨 대표가 3일 '2020 바이오 기업인의 날' 행사에서 산업부장관상(고용창출 부문)을 수상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바이오협회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주관하는 이 행사는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가 큰 유공자를 격려하기 위해 올해부터 개최됐다.

(왼쪽부터) 산업통상자원부 김재준 과장, 엠디뮨 배신규 대표
(왼쪽부터) 산업통상자원부 김재준 과장, 엠디뮨 배신규 대표

배신규 엠디뮨 대표는 "코로나19로 고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안정적이고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엠디뮨 직원은 혁신·성장·나눔의 핵심가치를 함께 실천해가는 건강한 조직문화를 바탕으로 바이오산업의 핵심인재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바이오드론 플랫폼 신약 개발 기업 엠디뮨은 청년 내일채움공제,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분기별 연구 성과 발표 우수사원 선정 등 다양한 청년 친화적인 기업문화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엠디뮨은 청년 고용창출과 인재육성에 힘써 2018년 인재 육성형 중소기업 선정(중소벤처기업부), 2019년 직무발명 보상 우수기업 인증 획득(특허청), 2019년 청년 친화 강소기업 선정(고용노동부) 등의 성과를 낸 바 있다.

 

제넥신, 자궁경부암치료제 GX-188E '란셋 온콜로지' 게재

제넥신은 자궁경부암 치료제 신약으로 개발중인 HPV(인유두종바이러스) DNA 백신 GX-188E(NOV1702)와 면역항암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의 병용 임상(KEYNOTE-567/GX-188E-005) 2상 중간 결과가 학술지 '란셋 온콜로지(The Lancet Oncology, IF=33.752)'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제넥신의 GX-188E는 HPV 16형과 18형에 특이적인 T 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면역 치료백신이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DC) 통계에 따르면, 거의 모든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이 중 70%가 HPV 16형과 18형 감염에 의해 일어난다.  

총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GX-188E와 키트루다 병용 임상에서 4명의 환자가 모든 종양이 완전히 사라진 완전관해(CR)를 보였고, 7명의 환자가 암의 크기가 30% 이상 감소하는 부분관해(PR)를 보여 GX-188E와 키트루다 병용군의 객관적 반응률(ORR)은 42.3%로 나타났다. 

또한 키트루다는 단독투여 임상(KEYNOTE-158)에서는 PD-L1 양성인 환자에서만 반응이 나타났지만, 이번 임상에서 GX-188E와 키트루다 병용군에서 반응을 보인 환자 중 한 명은 PD-L1 음성이었다.  

회사측은 GX-188E와 키트루다 병용 투여가 앞으로 자궁경부암 환자의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파멥신, 'SABCS 2020'서 삼중음성유방암 1b상 발표 예정

파멥신은 8일부터 11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2020 미국 샌안토니오 유방암 심포지엄(2020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SABCS 2020)'에서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임상1b상의 최신 중간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파멥신은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진단을 받은 1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사의 혈관성장인자수용체-2(VEGFR2) 길항체 올린베시맙(Olinvacimab)과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의 객관적 반응률(ORR), 질병통제율(DCR)을 포함한 안전성 및 유효성 데이터를 발표한다.

지난 9월 제13차 대한종양내과학회 학술대회(이하 KSMO 2020)에서 발표한 해당 임상의 중간 결과, 파멥신은 올린베시맙 16mg/kg/w 투여군의 50%에서 종양 크기가 30% 이상 감소하는 부분반응(PR)이 나타나는 등 유효성을 입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에 발표될 데이터의 컷오프 시점은 올해 9월로, 이전 발표한 중간결과 이후 3개월간의 최신 내용이 반영될 예정이다.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임상1b상의 최신 중간 데이터는 현지 시간 12월 9일 오전 8시에 전자포스터(e-Poster) 형식으로 발표되며, 호주 담당 임상연구자이자 할리우드 병원(Hollywood Private Hospital) 유방암연구센터(Breast Cancer Research Center) 종양학과 교수인 알린 첸(Arlene Chan) 박사가 발표할 예정이다.

파멥신은 현재 호주의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환자를 대상으로 올린베시맙을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와 병용투여 하는 임상을 진행 중이다.

 

라이센텍-레고켐바이오 공동연구협약 체결

라이센텍은 2020년 지난달 27일에 레고켐바이오와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하고 그람음성균 타겟의 엔도라이신 항생제 공동개발을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그동안 그람 음성균의 경우에는 재조합 엔도라이신을 처리해 주어도 외세포막이라는 장애물을 먼저 통과해야 하므로 그 효율이 매우 낮아서 항생제로 개발이 어려웠다. 라이센텍은 한국박테리오파지은행로부터 라이센싱한 방대한 박테리오파지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가장 효율이 높은 엔도라이신을 선별하고, 이후 단백질공학적 개량을 거쳐서 그람 음성균에 효율적으로 작용하는 후보 엔도라이신을 도출해 냈다.

향후 두 회사는 레고켐바이오의 링커기술과 항생제개발 노하우를 활용해 엔도라이신 약물 결합체(Endolysin Drug Conjugates)라는 새로운 기전의 그람음성균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이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