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영 의원, 최근 10년간 독감 사망자수 공개
"백신 접종 후 사망원인 분석 시스템 구축 과제"
신종플루,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이 등장한 시대에 독감 사망자가 경미한 증가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통계청 사망통계 데이터를 분석해 26일 낸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같은 현상이 드러났다.
사망통계는 사망진단서에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인해 사망한 경우를 담당의사가 의학적 판단하에 작성하는 것으로 신 의원 측은 "독감으로 인한 사망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입증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최근 10년간 독감 사망률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최근 5년간은 200명에서 250명대 사이 구간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2018년만 한해 720명 사망으로 유독 급증한 상태인데, 사망진단 시 ‘독감으로 인한 사망’이라 하더라도 폐렴 사망으로 집계되는 경우가 있어 해당 데이터만으로 독감 사망이 급증했다고는 단정 짓는 데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신 의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2018년에는 한파의 영향으로 예년에 비해 관련 사망자수의 증가가 있었던 영향, 그리고 독감 백신의 예측 정확도가 매년 차이가 있는 이런 요소들이 2018년 독감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고려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 의원은 그동안 3가 독감 백신을 주로 접종하다가 최근에는 좀 더 바이러스의 커버력이 높은 4가 독감 백신을 접종하는 경우가 늘면서 2018년에 비해 2019년 독감 사망자가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도 살펴볼 수 있다는 의견이다.
신 의원은 "2019-2020년 독감 발생 자체도 코로나19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기에 감염병 시대 원칙에 맞는 독감 예방접종 및 위생관리는 국민건강에 중요하다"며 "정확한 백신 접종 후 사망원인을 밝히기 위한 정부의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도 장기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