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현장, 저가형 방호복 사용중...비말 차단 성능 저조 우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질병관리청이 구매한 '레벨D 보호복'이 총 904만 세트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질병청은 시·도, 의료기관, 보건소, 검역소, 생활치료센터 등 유관기관에는 296만여 세트를 배포했다.
그렇지만 이른바 '코로나 방호복'의 관리 기준이 전무해 일부 방역 현장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저가의 제품들을 구매해 사용하고 있는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착용하는 방호복의 국내 기준은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인 의원은 이 같은 이유가 식약처 식약처, 산자부 등 관계당국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다.
지난 9월 인 의원실은 각 부처에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착용하는 방호복(개인보호구/레벨별)의 관련 기준 및 지침 일체'를 요구했으나 식약처와 산자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각각 '소관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사항이 없다'는 식의 답변으로 일관했다는 것이다.
인 의원실이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한 시험 결과에 따르면, 일선 소독업체나 보건소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방호복의 경우, 비말 등의 차단 성능이 매우 저조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독 방호복'과 '이송 방호복', '보건소 방호복'의 원단과 봉제 부위에 대한 '인공혈액 침투저항성' 시험결과를 살펴보면, 레벨D 방호복의 인증규격 항목 중 하나인'KSK ISO 16603 시험 class2 이상'을 통과한 제품은 이송 방호복 단 하나였다.
소독 방호복과 보건소 방호복은 테스트 초기 단계에서 성능검증에 실패했고, 이송 방호복의 경우에도 봉제부위 시험에서는 낙제점을 받았다.
인 의원은 하루빨리 방호복에 대한 국내 기준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기준이 전무하다 보니 성능이 검증되지 않은 저가의 방호복이 전국 방역현장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며 "코로나19 확산을 확실하게 차단하고, 코로나 현장에 계신 분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하루빨리 국내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