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성 특례상장을 위한 기술평가 이대로 괜찮나?

"기술평가(기평)를 통과했어도, 통과하지 못 해도 그 이유를 알 수 없다."(바이오기업 관계자)

"악순환이다. 투자가 역시 이런 상장 기준이라면 객관성에 의문을 가질 것이다. 투자자로부터 시장이 신뢰를 잃는 순간 시장은 붕괴한다. 낮은 유저피로 상장만 하려는 건 매우 근시안적 시각이다."(김명기 LSK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신년 인터뷰 중)

한국바이오협회가 발간한 브리프 '2020년 바이오기업 상장 현황 및 이슈'(링크참조)에 따르면, 지난해 기술특례 상장기업은 22개로, 2005년 제도 도입 이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22개 기업 중 14곳이 바이오 기업으로, 바이오 기업의 비중이 큰 편이다. 또한 기술특례 상장기업의 공모금액도 약 6138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역시 기술특례 상장 기업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출처=한국바이오협회]
[출처=한국바이오협회]

기술특례 상장 제도는 기술력과 성장성이 뛰어난 유망기업이 기술평가를 활용해 기술력과 미래가치를 증명하고, 코스닥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다. 거래소가 지정한 전문평가기관 중 두 곳으로부터 A, BBB 등급 이상의 평가를 받은 신청 기업에게 예비심사 청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출처=한국바이오협회]
[출처=한국바이오협회]

이처럼 기술특례 상장의 핵심은 전문기관의 '기술평가'에서 높은 등급을 받는 것이다. 기술성평가 주요 심사항목은 ▷기술의 경쟁우위 ▷기술성공 가능성 ▷연구개발역량 ▷지적재산 보유 ▷수익창출 가능성 등이 있다. 그러나 바이오 기업 종사들은 전문기관이 과연 이들을 평가할 역량이 되는지 의문을 품는다.

한 바이오벤처 업계 관계자는 "기술성평가의 주체인 전문기관이 과연 새로운 (신약개발을 비롯해) 비즈니스 모델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전문기관에 대한 인적 구성이 다양하지도 않을 뿐더러, 평가 회사와 이해 관계가 얽혀 있는 사람을 배제하다 보면, 정작 해당 기술을 잘 아는 사람들이 전문기관에 참여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기평에서 탈락한 기업들을 살펴보면, 이유도 제각각이다. 한국바이오협회 브리프를 살펴보면, ▷전임상 파이프라인이 12개를 가진 기업의 경우 기술성과 사업성 평가의 어려움 ▷개발 진도는 빨랐지만, 해당 시장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핵심기술을 지속적으로 참여한 사람이 적다는 문제 등으로 기평에 탈락했다. 과연 현재 기술특례 상장 기업 중 이들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고 볼 수 있을까?

결국 객관적이고, 일관된 명확한 기준을 세우기 위해선 전문기관의 전문성 확보가 관건이다. 전문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으나, 김명기 대표의 수수료(user fee) 인상은 되새겨 볼 만한 대목이다. 현재 기평의 수수료는 대략 1500만원 선으로, 해당 기술의 전문가들이 깊이 있는 분석을 위해선 한계가 많다는 게 김 대표의 지적이다. 그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들은 대답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현재 기평 시스템은 일관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다. 여러 전문기관에 무작위로 평가를 맡기다 보니, 일관성이 확보되기 어렵고, 평가 경험이 많지 않은 인력이 평가에 참여하다 보니, 객관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당연히 경험히 많은 연구진으로 구성된 해당 기업 입장에서는 평가 결과를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평가기관 역시 현 시스템에서 어려움은 있다. 기본적으로 평가 수수료 자체가 낮으니, 손해를 보면서 평가를 할 순 없을 것이다. 당연히 적은 예산 내에서 인력을 고용할 수 밖에 없으니, 질 높은 평가를 하기 어려울 것이다. 경험이 많은 사람을 고용하려면 당연히 많은 비용이 들 수 밖에 없다.

 

수수료를 높여 평가기관의 전문성을 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 제대로 된 전문기관을 만들거나, 특정 기관에 권한을 주고 그 업무를 전문적으로 대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