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항불안제 빅데이터 분석...660만명중 여성 416만명
디아제팜·알프라졸람·로라제팜 순 처방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년간(2019.04 - 2020.03)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된 의료용 마약류 '항불안제' 사용 빅데이터를 분석해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 서한을 발송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도우미 서한은 마약류 항불안제의 적정한 사용을 위해 의사 본인의 처방 환자수, 사용량 등을 전체 사용통계와 비교해 과다처방 여부 등을 자가진단 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의사 개인별로는 ▲처방현황(처방건수, 처방량, 환자 1인당 사용량 등) ▲처방 상위 질병 및 성분 ▲환자 1인당 사용량 비교 ▲연령제한 환자 처방 ▲총 처방량 순위 등 12종의 정보가 제공된다.
마약류통합괸리시스템에따르면 지난 1년간 ‘의료용 마약류 항불안제’를 처방받은 환자는 660만명으로 국민 '8명 중 1명' 수준이었다. 성별로는 이 여성이 416만명(63.4%)으로 남성 240만명(36.6%)보다 사용 비율이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0.4%로 가장 많았고, 50대 19.5%, 70대 15.9% 등 50대에서 70대 환자가 가장 많았다.
성분별로는 '디아제팜' 319만명, '알프라졸람' 266만명, '로라제팜' 114만명의 순서로 사용한 환자수가 많았다.
항불안제 사용량은 정신건강의학과, 종합병원, 일반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주의·연령주의 성분을 처방받은 해당 연령의 환자수는 105만명(15.9%)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올해 추가로 프로포폴, 졸피뎀, 식욕억제제에 대해서도 도우미 서한을 발송해 의료용 마약류의 적정 처방을 계속해서 유도하는 한편, 올해 말까지 '온라인 도우미 서한 시스템'을 구축해 보다 많은 의사에게 의료용 마약류의 처방분석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