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1차 유효성 지표 충족 못한 경 경증 환자 배제해 재도전

비보존(대표이사 이두현)은 현재 개발 중인 비마약성 진통제 ‘오피란제린(VVZ-149)’ 주사제의 엄지건막류(무지외반증) 임상 3b상 진행상황을 18일 발표했다.

미국 아리조나, 캘리포니아, 텍사스 세 임상기관에서 진행되는 엄지건막류 임상 3b상은 현지시간으로 6월 17일 이후 환자 스크리닝을 개시할 예정이고, 정교하게 설계된 선별기준을 통과하는 환자에 대해 수술을 진행하여 7월 초 첫 환자 등록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비보존은 일차 유효성지표인 12시간 통증면적합의 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회사 측은 피험자 수가 충분하면 유의수준을 확보할 수 있는 차이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총 60명의 환자 수로 진통감지 환자백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이를 바탕으로 다시 3b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번 임상 3b상은 오피란제린의 효능을 최종적으로 확증하는 시험으로, 지난 임상 2b상의 설계를 수정했다. 총 300명 환자 등록을 목표로 하며, 수술후 통증강도가 4 미만인 경증 통증 환자를 등록에서 배제하고 구제 약물로 투여하는 오피오이드 용량을 기존 임상 2b상에 비하여 대폭 줄여서 위약군과의 차이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이두현 비보존 대표는 “기존 임상시험 데이터 분석에 기반하면 최적화된 프로토콜과 환자 수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르면 올 12월 말에서 내년 1월초에 탑라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비보존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오피란제린(VVZ-149) 주사제는 수술후 통증을 비롯한 중등도 이상의 통증에서 강력한 진통 효능을 가진 비마약성 진통제이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