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민 교수 연구팀 연구결과...장기 예후도 개선

JAMA에 논문 게재

심각한 급성심장질환에 동반된 외상후증후군을 적극적으로 치료한 결과 심장질환 재발률이 획기적으로 감소했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이 같은 내용의 전남대학교 김재민 교수 연구팀의 논문이 세계 의학 분야의 최고 권위 있는 학술지인 JAMA 25일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심각한 심장질환이 발생한 이후 외상후증후군으로 우울증이 흔히 발생한다. 이는 심각한 신체-정신적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이후 발생하는 장애로, 신경·정신계 질환(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불안증, 알코올 의존 등)과 자살, 폭력 및 사회적 적응 문제, 삶의 질 저하 등 각종 문제를 총칭한다.

이렇게 우울증이 동반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심장질환 재발률과 이로 인한 사망률이 3~4배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않아 의학계에서는 “심장질환 동반 우울증에 대한 치료가 심장질환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돼 왔다.

이에 김재민 교수팀은 12년간의 장기적 연구를 통해 심장질환 후 발생하는 우울증에 적절히 치료적으로 개입하면 심장질환의 재발률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장기 예후가 개선될 수 있음을 규명했다.

심장질환에 따른 우울증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약 6년에 걸쳐 항우울제-위약 대조 6개월 임상시험을 진행했고, 이들에 대해 5~12년에 걸쳐 심장질환의 재발률과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우울증 치료 시 심장질환 재발률은 46%, 사망률은 18% 각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과기정통부는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심장질환과 우울증이 동반돼 심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들의 질병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또 “심장질환과 동반되는 우울증을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임상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정신과뿐만 아니라 순환기내과 임상가들에게 새로운 임상시험실시기준(good clinical practice)을 제시했다”고 했다.

김재민 교수는 “본 연구 결과는 심각한 신체질환에 동반되는 외상후증후군을 치료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신체질환의 예후까지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므로, 신체질환에 따른 외상후증후군에 대한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함을 조명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