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아카데믹 메디컬 센터, 노르딕뉴로랩 등과 협업

의료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 기업 주식회사 뷰노(대표 이예하)가 유럽 연구기관과 협력해 인공지능으로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항우울제 효능을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DEPREDICT’를 개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주요우울장애 환자에게 항우울제 투여 후 촬영한 MRI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투여 약물의 장기적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DEPREDICT 개발을 목표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와 유레카 사무국이 운영하는 국제공동기술개발 프로젝트인 유로스타2(Eurostars2) 지원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정신 의학 분야에 영상의학과 딥 러닝 기술을 접목해 항우울제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절반 이상의 환자가 1년이 넘는 치료 기간 동안 효능을 보이는 치료제를 찾지 못하고, 부작용 위험이 높은 항우울제 시도를 반복해야 하는 주요우울장애 치료에 DEPREDICT 도입 시 항우울제 탐색 과정을 75% 감소시킬 수 있어 관련 임상적 의사결정을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뷰노는 뇌 MRI 기반 알츠하이머 질환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한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 연구 프로젝트의 컨소시엄에 선정됐다. 뷰노는 항우울제 투여 후 촬영한 MRI에서 특이 패턴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투여 약물의 장기적 치료 효과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젝트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는 ▲세계적인 뇌 MRI 분석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기업 노르딕뉴로랩(NordicNeuroLab, nnl) ▲항우울제 등 약물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영상 기술로 연구하는 대표 연구기관인 네덜란드 메디컬 센터(Academic Medical Center in Amsterdam)의 Liesbeth Reneman 교수 연구팀▲세계적으로 저명한 진단물리학과를 보유한 오슬로 대학병원(Oslo University Hospital, OUH)의 Atle Bjørnerud 교수 연구팀 등 유수의 유럽 기업 및 연구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업해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낸다는 전략이다.
뷰노 이예하 대표이사는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 솔루션으로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특정 항우울제 효능 발현 여부를 조기에 예측하게 함으로써, 임상환경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뷰노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를 선도하는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으로서 이번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