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기간 표시방법 개선도 요구

국회가 정부의 신약개발 지원업무에 대한 대대적인 쇄신을 촉구하고 나섰다. 소비자들이 식별할 수 있도록 유효기간 표시방법을 개선하라는 요구도 나왔다.

자유한국당 윤일규 의원은 7일 식약처 국정감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신약개발 지원업무 전반 쇄신 필요=이 의원은 신약 승인·출시 확률이 0.01%에 불과한 현실에 대해서 중개연구 강화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신약개발 지원 업무 전반의 쇄신을 촉구했다.

현재 정부는 정부 신약개발 투자액 3,059억원 중 37%를 인프라 조성에 쓰고 있고, 임상투자에는 14%만 투자하고 있다. 또 후보물질 도출·최적화에 22%, 타겟발굴·검증단계에 12%를 투입한다.

이 의원은 “한국의 바이오기업들이 신약 파이프라인이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는데, 이러한 요인이 전반적으로 바이오시장 불안을 확산시키고 있다”며 “현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하는데, 정작 투자는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신규기초연구」 지원, 우수 후보물질 발굴, 기업의 파이프라인에 연결시키는 투자확대 및 우수 기초연구 성과가 실제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중개연구(translation research) 강화를 세부 대안으로 제시했다.

인보사 등 총체적 부실안전관리 자성 필요=이 의원은 인보사?인공혈관?라니티딘 사태 등으로 식약처는 의약품 안전관리에 있어서 대국민 신뢰를 상실했다고 평가했다.

또 식약처 소속 심사관이 식약처장을 비롯한 전현직 공무원 12명을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문제에 대해서, “이번 문제를 국민의 입장에서 잘 해결하여 식약처의 위상을 다시 제고하는 계기로 삼기 바란다”고 했다.

이 의원은 “식약처의 총체적 의약품 관리 기능 부실 문제에 대해서 양심선언을 한 내부 직원을 사실 여부에 대한 확인을 거치지 않고 징계부터 한 것은 내부 소통 부재에 기인한 잘못된 처사라고 생각한다”며 “양심선언을 한 심사관의 지적사항을 꼼꼼하게 검증해 사실여부를 반드시 밝히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의약품 유효기간 표기방법 개선=이 의원은 의약품 유효기간을 소비자들이 식별하기가 매우 어렵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명수 의원은 “대부분 의약품의 유효기간 표시 부위가 찾기가 매우 어려운 위치에 표시되고 있어서 보물찾기를 하는 것 같다”며 “의약품 유효기한 표기방법을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