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공적판매처 · 제조업체의 니즈 파악… 현장점검 나서
제조업체 "인력 부족해 생산량 못 늘려… 공적비축제 도입해야"

연일 '마스크 대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현장의 약국 등 공적 판매처들은 정부에 마스크 구매 공급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조치를 해달라고 건의했다.

마스크 구매에 대해 국민들의 불안을 달래고 혼란을 막을 방법을 달라는 의미다. 약국 유통 · 공급처가 다양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위쪽부터) 기재부 점검 직원들이 약국을 찾아 공적마스크 유통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위쪽부터) 기재부 점검 직원들이 약국을 찾아
공적마스크 유통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직원 총 64명을 동원해 전국의 공적판매처, 제조업체의 수급 현황과 애로 · 건의사항을 들었다. 

현장에서 마스크 공급과 유통에 장애가 되는 법 또는 제도적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개선하겠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1일까지 총 3차례 점검을 통해 약국 188곳, 농협 하나로마트 16곳, 우체국 1곳, 제조업체 2곳, 총 207곳을 점검했다. 당분간 매일 현장에 나가 점검하겠다는 계획이다.

약국 등 공적 판매처는 정부에 "공적마스크 물량이 지속적으로 입고될 것이라는 확신을 줘 국민들의 마스크 구매 관련 불안감을 덜어줘야 한다"고 했다.

특히 매일 마스크가 공급되더라도, 공급날짜·시간 등이 불확실해 마스크를 사려는 국민들이 수시로 방문해야 하는 문제 등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공급 예측 가능성을 높여야 하고, 약국에 유통되는 물량의 공급처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마스크 제조업체는 인력이 부족해 생산량 증대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생산인력 의존도가 높았어서 추가 인력 확보에 애로가 있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향후 비상사태 대응 등을 위해 마스크 등 재해관련 물품의 전략물자 지정과 공적비축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현장점검을 통해 청취한 애로사항과 건의과제는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최대한 조기에 개선방안을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마스크 수급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현장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며 "애로사항 및 국민 의견을 듣고, 이를 토대로 대응 정책을 마련해 실행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