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용요법 개발 진행에 따른 첫번째 단계 기술료
유한양행이 얀센 바이오테크(Janssen Biotech, Inc.)에 기술 수출한 레이저티닙(Lazertinib) 관련 기술료 3500만달러(약 432억원)을 수령할 예정이라고 8일 공시했다.

회의 참석자들이 시험 개시를 축하했다. (사진제공=유한양행)
왼쪽부터 영남대병원 이경희 교수, 서울성모병원 강진형 교수, 서울아산병원 김상위 교수, 국립암센터 김흥태 교수, 유한양행 이정희 사장, 세브란스병원 조병철 교수, 삼성서울병원 안명주 교수, 중앙대병원 장정순 교수, 충북대병원 이기형 교수, 서울대병원 김동완 교수
이는 레이저티닙과 얀센 자체 보유 항얌치료물질 'JNJ-372'의 병용요법 개발 진행에 따른 첫번째 단계별 마일스톤이다.
연결기준 유한양행의 자기자본 1조65000억원의 2.5%를 초과하는 규모다.
레이저티닙은 폐암 돌연변이 유전자 'EGFR'를 표적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기전을 갖고 있다.
얀센은 이날 유한양행에 첫 마일스톤 관련 송장을 발행했다. 유한양행은 수신일로부터 60일 이내 기술료를 받을 예정이다.
유한양행은 "향후 추가 임상시험, 허가, 상업화 미실현시 기술이전 계약은 종료될 수 있다"며 "계약 종료에 따른 당사의 마일스톤 기술료 반환 의무는 없다"고 했다.
유한양행은 지난 2018년 11월 얀센 바이오테크에 레이저티닙을 기술이전하면서 반환 의무가 없는 계약을 약 550억원을 받았다.
이후 개발 및 상업화까지 단계별 마일스톤 기술료로 최대 미화 12억500만 달러 (1조3975억원), 그리고 상업화에 따른 매출 규모에 따라 경상기술료를 지급받기로 했다. 이를 합하면 약 1조4000억원 규모다.
관련기사
- 유한양행, 뇌질환부터 AI까지…벤처와 함께 영역 확장
- "아, 레이저티닙" 유한양행 1조클럽 무난히 안착
- 비소세포폐암 신약 레이저티닙, 17개국서 3상 임상 개시
- 결국 리더인가? 5년 만에 더 깊어진 '유한양행의 뎁스'
- 원희목 회장 "오픈 이노베이션에 사활...함께 뛰어달라"
- 유한양행 이정희 사장 "G.G.로 힘차게 도약하자"
- '레이저티닙' 글로벌 3상 국내서도 착수… NASH 임상 잇달아
- 2019 첫 기술수출 주인공은 유한...8600억 규모
- 레이저티닙, 타그리소 대항마 될 수 있을까?
- 유한, 얀센에 항암신약 '1조4500억' 기술수출
- 표준치료제 없던 NASH · EGFR TKI… 유한 계좌에 더 들어올 돈은
- 브리핑 | 제약바이오의 '노력과 보상'…코19에 발휘될까
-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뇌 전이 동반 폐암환자에 효과 확인
- '제미글로+SGLT-2 억제제' 복합제 개발 속도 붙인 LG화학
- 유한양행,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정80mg' 허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