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hit |
'처분불감증' 막을 강력한 금전경쟁 제제대책 필요하다

한국휴텍스제약 GMP 규정 위반 사태가 뜨겁다. 업계에선 뒤이어 누가 걸린다더라 하는 '카더라 낭설'까지 도는 모양새다. 이같은 패턴은 하나의 유행병이 되었다. 때문에 언론에는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취재 중 만난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되새겨보면 다른 차원에서 GMP 이슈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사건은 사건이죠. 지금 난리난 게 맞는데, 그렇다고 뭐가 크게 바뀔까요? 끄떡없어요, 휴텍스는. 중소사는 이미 약 싸움이 아니에요. 수수료 싸움이지."

"비보존제약에서 그 일(임의제조) 있고 나서 사람들이 다 그 생각했어요. 비보존(제약) 망하는 거 아니냐고. 근데 그렇게 됐어요? 멀쩡히 사업 잘 하잖아요. 물론 비보존이 노력한 부분도 있어요. 그런데 어차피 시장에선 금방 잊혀져요. GMP 이슈의 시작점인 바이넥스도 마찬가지죠.(후략)"

업계 관계자 다수의 입은 하나를 말한다. 몇몇 큰 회사를 제외하면 이미 국내 처방 의약품 시장은 '약투'(藥鬪)가 아닌 '쩐투(錢鬪)'이기 때문이라는 뜻이다. 그 흐름은 자연스레 사건 이후로도 이어진다.

최근 휴텍스제약 품목을 팔던 영업사원들이 타 사 동일한 제품을 파는 것은 그 약이 특히 동일 성분 제제 중 유난히 좋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제약업계 사람이라면 쉽게 생각할 수 있다. 판매시 수수료 조건이 비슷해서라는 것이다.

국내 제약사를 성격에 따라 천편일률적으로 나누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몇 가지 성격 정도로는 정리해볼 수 있다. 휴텍스제약은 제품/상품 구분보다 '캐시카우성 제네릭을 CSO의 힘과, 이를 뒷받침하는 수수료로 판매하는' 제약사 중 리더격'으로 꼽힌다. 실제 많은 회사들이 벤치마킹하고 있는 휴텍스식 영업방식은 성공적이었다. 개량신약 혹은 오랫동안 뿌리를 박고 사업을 영위한 제약사들보다 매출과 수익성 측면에서 효율적이었다. 

시장에서 휴텍스의 영업방식은 업계 관계자들 표현을 빌리자면 여러 분파를 만들어냈다. 특정 지역에서 이같은 영업으로 두각을 보인 이들은 자연스레 같은 방법을 활용해 회사를 만들었다. 수수료만 주면 제품을 팔 영업사원이 많았으니 이들은 고정비용을 수수료로 쓰며 매출을 키워나갔다. 극단적으로 허가권자 따로, 생산자 따로, 판매자 따로인 R사 같은 곳까지 생겨났다. 만약 이 약에 문제가 생긴 경우 책임은 누가져야 할까?

휴텍스제약 GMP 이슈는 단순하게 보면 'GMP 적합판정 취소'라는 소위 '원 스트라이크 아웃' 제도의 첫 사례 대상으로 꼽히지만, 이같은 제조 문제를 일으키게 한 근본 원인을 떠올려 볼 필요가 있다. 왜왜분석을 해보면 그 끝은 '약이 아닌 돈을 쫓는 싸움'이 도사리고 있다.

회사 입장에서는 혹여 제조 문제가 터져도 품목은 많으니 품목 판매업무 정지를 받거나 이 역시 과징금으로 무마할 수 있고, 영업 환경은 이 약을 팔기보다 어떤 약을 판매하든 수수료가 우선이고, 여타 제약사는 특정 회사의 불행을 수수료로 밟고 올라서며 파이를 차지하려 하는 우리들의 일그러진 생태계가 GMP 이슈, 다른 말로 품질 이슈의 발원지인 셈이다. 결국 이번 사태는 단호한 처분과 함께 기존 영업 관행을 부숴 버릴 수 있는 또다른 강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신호나 마찬가지다. CSO 신고제 등 여러 정책 시행과 보완이 필요함을 역설하는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