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령에 2주~4주까지 소요...최근 코로나19로 8주까지 걸리기도
연구용시약 수입 문제는 과거부터 존재한 고질적 문제
"수입통관 간소화·MRO 도입 등 현실적 대안 필요"

 국내 신약 연구진, '연구용시약' 수급 시름 

최근 제약바이오 산업이 급격한 성장을 보이며 R&D 투자 또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작 항체 및 펩타이드 등 검정법 개발에 필요한 연구용시약 수입은 원활하지 않아 신약연구 개발 속도가 산업 성장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는 업계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히트뉴스가 국내 신약 개발 R&D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1. "언제 오려나..." 국내 도착에만 '1주~1달' 예측불가 연구용시약 수입
2. "복잡한 시약 유통 문제...최선의 대안은 재고 확보에 달려있어"

국내 제약사, 바이오벤처, 정출연 등 연구소에서 사용하는 수입 생물학적 연구용시약 수급에 미국 등 선진국보다 5배 이상 소요돼 연구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나라 의약품 시장은 세계 13위로 163억 5200만 달러(약 20조 원, 2020년 기준) 규모로 집계된다. 정부는 올해 바이오헬스 R&D에 1조 9000억 원 예산을 투자하겠다고 밝혔으며,  이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 R&D 투자 금액 일부는 국내 제약사 및 바이오벤처에서 혁신신약 후보물질을 평가하기 위한 검정법 개발(Assay Development)에 사용된다. 다만, 정작 검정법 개발에 필요한 항체 및 펩타이드 등 수입 연구용 시약이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5배 이상 느려 물류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게 연구계의 목소리다.

 

연구용시약 수급, "과거부터 이어온 고질적 문제" 

한 바이오기업 관계자는 "이 사안은 과거부터 존재해 온 문제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수면위로 올라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업계에 젊은 연구자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 시약 물류는 예전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어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연구소에서 검정법 개발을 하고 있는 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신약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산·학·연 연구소에서는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키아젠(Qiagen), 깁코(Gibco) 등 유명 해외 연구용 시약 업체 제품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원은 "연구소를 출입하는 연구자재 소매상 직원을 통해 필요 브랜드 시약 카탈로그 번호로 주문을 넣고, 추후 수령하는 시스템"이라며 "코로나19 유행 이전에는 주문 후 빠르면 2주에서 늦으면 4주 정도 소요됐지만, 최근에는 수령까지 8주 가량 걸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에 따라 시약 공급까지 여유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급하게 필요한 경우 타 연구소나 도매상들에게 사정해 시약을 구해오기도 한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한 연구용 자재 유통 관계자는 "해외에서 국내까지 수입되기까지 과정도 만만치 않다"며 "해외 시약 업체의 최종 거래 승인 절차부터 배송비 절감 목적으로 묶음 배송이 준비되기까지 1달 가까이 소요될 수 있고, 통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2~3주가 더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해당 시약업체의 재고를 쌓아놓는 저장(Stock)창고가 존재하지 않고, 수입된 시약이 거쳐 가는 임시보관 창고만 존재해 매번 이 수입 과정을 반복해야한다"고 연구용 시약 유통구조를 설명했다.

글로벌 시약 제조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생물학적 검정법 개발에 사용되는 연구용 시약은 콜드체인 제품(저온 등 특수보관조건 유지가 필요한 제품)이 많아 국내에 재고를 구비 해놓기 까다롭다는 의견이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다품목 소량 사용 국가이기 때문에 회사가 미리 구비해 놓은 재고는 거래 취소 및 교환 등 이유로 고스란히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

 

 당장 본질적인 개선은 힘들겠지만, 이 방법은 어떤가?

국내 신약연구 R&D 연구진 및 유통업체 관계자들은 당장 연구용시약 유통과 관련된 본질적인 문제 개선은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었으나, 히트뉴스 취재에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한 연구소 관계자는 "수입 측면에서 연구용 시약에 대한 통관 절차의 면제 혹은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으며, 또 다른 관계자는 "재고를 흡수 및 직매입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가진 MRO(원자재를 제외한 소모성 자재) 업체를 도입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내 시약 제조업체 경쟁력 확대 위한 정부 지원 △해외 대학의 연구용시약 구매 플랫폼 벤치마킹 △배송전문업체를 통한 해외 직배송비 정부 지원 등이 추가 대안으로 제시됐다.

이 기사의 아이디어는 SNS를 통해 얻었으며, SNS에서 의견을 밝혔던 분들을 포함해 또다른 관계자들을 추가 취재해 완성했습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