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히트 |
연구용시약 수입 고충, 연구계의 적극적인 의사표현 필요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등 신약 개발 단계 중 검정법 개발(Assay Development)에 필요한 연구용 시약들의 수입 유통 문제는 국내 제약사, 바이오벤처,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연구소에서 겪어온 고충 중 하나였다.

히트뉴스가 실제 검정법 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업계 관계자들을 취재해본 결과, 기존에도 2주~4주 기간 내에서 배송되던 시약 제품들이 코로나 이후에는 최대 8주 정도까지 배송돼 수령 기간을 더욱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우리나라 R&D 투자 예산은 그 규모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신약 개발 R&D를 위해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연구용 시약 수입 및 유통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정체돼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일반적인 연구 환경의 질과 코로나19 등 팬데믹 상황에 대한 대처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같다는 의견도 나왔다.

실제로 연구소에서 사용하는 수입 생물학적 연구용 시약 수급에 미국 등 선진국보다 5배 이상 소요돼 연구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입 연구용 시약이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하기 까지 배송시간을 지연시키는 이유는 △수입업체의 결제 처리 지연 △국내 배송까지 걸리는 시간 △수입 통관 문제 △복잡한 국내 유통망 등 다양하다. 

대부분의 연구진들은 본질적인 문제 개선은 당장 힘들겠지만 몇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수입 통관 문제다. 한 바이오 소부장재 유통업 관계자는 "외국에서 연구용 제품을 수입해오는 과정 중 가장 예측할 수 없는 단계가 바로 수입 통관 문제"라며 "통관 과정만 2~3주까지 소요될 수 있고, 미리 예측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통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지금보다 배송기간 단축 및 예정기간을 가늠하기 용이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바이오벤처 R&D 연구원은 "국내 연구용 시약을 사용하면 배송기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겠지만, 외국 제품과 달리 품질성적서를 제공하지 않거나 국제 공인 인지도가 낮아 사용에 부담을 느낀다"고 말했다. 

또한 "국내 연구용 시약 제조업체에서 믿을 수 있는 품질성적서를 제공하고, 국제 공인 인지도가 높아져 해외 논문에 사용해도 불이익이 없다면 안 쓸 이유가 없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이런 소부장 수급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는 2020년 말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소재부품장비 수요기업과 아미코젠, 제이오텍 등 공급기업과 '백신·원부자재·장비 상생협력 협의체'를 결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협의체를 국내 바이오 소부장 업체의 기술확보 및 국내 공급 시장을 원활하게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후 해당 부처는 다양한 간담회를 통해 소부장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상장특례 뿐만 아니라 복지부와 산자부가 함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기업 간 네트워킹 △해외 인허가 지원 △국내외 홍보 및 판로 개척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정부에서 국내 제약바이오 R&D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런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건 긍정적인 신호임에 틀림없다. 

다만, 최종 소비자이자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 R&D 종사자의 연구재료 수급을 위한 직접적인 지원방안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듯 하다. 

최근 정부의 지원이 국내 소부장 공급업체 지원에 집중됐던 이유는 그들이 자신들의 입장을 한데 모아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왔기 때문이다.

국내 제약바이오 신약개발에 있어서 기초연구 및 검정법 개발 등은 R&D에 핵심적인 부분이다. 연구계도 이제 정부의 제도 개선이 이뤄지기만을 기다려선 안 된다. 정부에게 적극적으로 현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고, 문제점을 함께 고민해 나가야 한다.

정부와 연구계의 공통된 목표를 가진 노력이 없이는 국내 신약 개발 사업은 고질적인 병목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