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팜 박정관 부회장, '코로나 이후 약사의 역할' 간담회 개최
권력은 이미 소비자에 "약 배달 못 막아, 선점할 전략 고민해야"

의약품 배달은 막을 수 없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디지털 인포메이션 시대에서 권력이 소비자로 옮겨진 만큼 시장을 결정하는 것은 소비자가 됐기 때문이다.

약국 프랜차이즈 위드팜 박정관 부회장은 23일 전문기자 간담회에서 "디지털 시대에서 약사 직역 가치는 누가 고객 정보를 가지고 역할을 확대할 것인가로 갈릴 것"이라며 "약 배달은 주도적으로 고민해야 할 약사 과제"라고 밝혔다.

위드팜 박정관 부회장
위드팜 박정관 부회장

 

"4차 산업 핵심은 정보→서비스"

우선 박정관 부회장은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은 정보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 창출이라고 밝혔다.

그는 "기존 산업이 자원을 인풋으로 상품이라는 아웃풋을 창출했다면, 4차 산업혁명에서는 아이디어·창의력, 상상력을 인풋으로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이렇게 창출된 서비스는 사회의 전통적인 구조를 변화시키는 촉매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박 부회장은 "4차 산업혁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패러다임 시프트에 담긴 혁명, 변혁, 전환은 기존 물질을 새로운 물질로 바꾼다는 의미를 담고있다"며 "비대면 진료가 활성화 되면 비대면 투약은 필연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약 배달에 대한 약사들의 결정은 원칙에 대한 고수, 실리 양자 택일이 되겠지만 소비자로의 권력 이동은 명분이라는 선택지를 없애고 있는 만큼 실리를 찾을 고민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사 단체는 반대를 넘어 최근에는 TFT를 꾸려 비대면 진료를 준비 하고 있다"며 "그 결과 비대면 진료에 대한 수가 확대(30%)를 확보하며 비대면 진료를 받아들이는 과정에 접어들었다"라고 설명했다.

 

 

일본, 미국, 중국은 비대면 진료 정착

아울러 그는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가 보여주고 있는 행보가 우리나라에서 막 시작된 비대면 진료와 약 배달의 행방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일본은 2020년 1월 재진 환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진료를 시작한 후 2020년 4월 비대면 진료 영역을 초진으로 확대했다. 

현재 일본 비대면 진료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네이버와 소니의 합작인 '라인 헬스케어'다.

중국은 2015년 비대면 진료를 공식화했으며 중국에서 가장 거대한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 징동 등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그 중 징동닷컴은 2020년 무료 문진서비스를 시작으로 의약품 전자상거래, 온라인 의료, 건강, 스마트 솔루션 등 사업영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박정관 부회장은 미국의 사례에서 한국의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의약품 배송 서비스가 상용화 된 미국의 의약품 배송 시장은 월그린과 CVS가 업계 1·2위를 다투는 형세였으나, 2018년 미국 초대형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의약품 배송 기업 필팩을 인수해 온라인 약국 시장에 뛰어들며 새로운 경쟁 구도가 만들어졌다.

박 부회장은 최근 아마존으로 흡수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환자들은 월그린과 CVS로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약사가 갖고 있는 환자들과의 신뢰가 원인이라는 것이다.

그는 "미국에서 약사들은 환자, 가족 약력관리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약을 제공하는 등 환자들과 오랜 신뢰를 유지하고 있었다"며 "쌓은 신뢰에 디지털을 입히니 환자들이 화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약 배달 "누가 하느냐 보다 본질 봐야"

박정관 부회장은 약 배달은 누가 하느냐 보다는 약 배달이 의미하는 본질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에 대한 반대가 지금의 비대면 진료·약 배달 통합 서비스를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약 배달에 대한 반대가 약국의 디지털 전환 적기를 놓치게 했고 그것이 결국 닥터나우와 같은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탄생시킨 요소가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와 한시적 비대면 진료 시행 이후 약국은 적극적으로 약 배송 수단 마련과 전화 등을 통한 복약지도에 나섰어야 했다"며 "그랬더라면 하나의 앱으로 진료·조제를 해결하는 통합 서비스를 키우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부회장은 "약 배달을 △약사 △보건소 △유통사 △공무원 누가 해야할지를 두고 갈등할 것이 아니라 약 배달이 시사하고있는 디지털 인포메이션을 직시하고 고객 정보의 소유권을 주장할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며 "코로나19 재택치료 지행 이후 환자 케어가 되고 있지 않은 지금, 환자를 위한 역할을 적극 고민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