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권 중심 통합할인 시도, 할인율까진 쉽게 못줄여
사후할인에 권익위 등 경고 메시지...변화조짐 확산

제약회사가 간납도매에 제공하던 ‘사후’ 매출할인을 사전할인으로 통합하는 작업이 중상위권 회사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 제약회사들은 간납도매와 거래할 때 의약품 출하 시점에 8~9%의 마진을 사전할인 형식으로 제공하고 수금단계에서 영업실적 등을 감안해 일정 퍼센트(%)를 사후에 할인해주는 단계별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 같은 사전-사후 할인방식은 세미급 이하 중소병원과 의원, 문전약국을 거래하는 간납도매들이 거래처에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

히트뉴스가 입수해 지난 5월 28일 보도한 간납도매 거래금액 및 마진율에 대한 복수의 국내제약회사 자료에 따르면 사전-사후를 합한 평균 할인율은 54%에 달했다. 사전에 제공되는 8~9%를 정상 유통비용이라고 가정할 경우 적어도 45% 이상의 약값이 간납도매를 거치면서 어디론가 사라지는 셈이다.

당시 히트뉴스와 접촉했던 복수의 업계 관계자는 병원이나 의원이 20% 이상, 문전약국이 5~7%를 리베이트로 가져가는데, 기타 경비를 제할 경우 간납도매는 10% 이하에서 마진을 챙긴다고 증언했다. 이런 불법구조는 사실상 마지막 남은 리베이트 통로인데 우리 현실에서는 전납도매, 품목도매, CSO 등과 기능적으로 혼재되며 통칭 ‘간납도매’로 불린다.

간납도매 마진율 구성 모형. (취재내용 재구성)
간납도매 마진율 구성 모형. (취재내용 재구성)

이 같은 불법고리 중 ‘사후매출할인’을 국민권익위원회가 꼭 찍어 리베이트 자금원으로 지목하자 중상위 업체를 중심으로 변화의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출하량이라는 분명한 기준이 있는 사전할인과 달리 사후할인의 경우 대개 간납도매가 제약회사에 제출하는 처방증빙 등을 근거로 합의된 %를 지급하는데, 사정당국의 조사를 받을 경우 소명할 방법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고민하던 업체들은 사후할인을 기준이 분명한 사전할인에 통합하고 할인율을 점차 줄여나가는 방법을 쓰기 시작했는데, 리베이트 문제로 홍역을 치른 상위권 A사의 경우 사후할인을 아예 없애는 극약처방을 쓰기도 했다. 그러나 사후할인을 없애는 중인 몇몇 업체들은 간납도매의 반발과 매출실적 등을 고려해 단계적 개선을 선택하고 있다.

중상위권 B사의 경우 올 상반기 중 2~3개월간 간납도매와 협의를 통해 사후할인을 없앴는데 그 과정이 만만치 않았다는 것. 또 다른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제약회사가 주는 마진이 줄어들더라도 간납도매는 병의원이나 문전약국에 주던 리베이트(%)를 단박에 중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을 설득해서 합의를 이끌어내는데까지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 매출볼륨을 유지하면서 변화를 줘야하기 때문에 사후할인을 우선적으로 없애고 이후 할인폭을 낮춰가는 점진적 방법을 쓸 수 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사후할인 문제로 고민하는 C사 관계자는 “사후할인을 없애고 할인율은 낮춰야 한다는 인식은 업계에 많이 퍼져 있지만 도매반발 등 현실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쉽게 접근하지는 못하고 있다”며 “현재 상위권 D사가 사후할인 중단을 시도하는 등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과도기를 거치면 변화가 크게 일어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