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 JAPAN 2023 후일담] 국내 제약바이오에 묻습니다

이영미 유한양행 부사장 "후보물질 개발-기초과학 시너지 노릴수"
박상진 GC녹십자 팀장 "우리 기업 신뢰도 뒷받침할 '증거' 갖춰야"

일본 요코하마에서 얼마 전 열린 '바이오재팬 2023'에는 국내 기업 40여곳이 참석, 세계 시장과 일본을 두드리기 위한 미팅과 파트너링 논의를 가졌다. 부스를 차리거나, 차리지 않은 곳이 한데 어우러져 K-제약바이오를 알리는데 힘썼다. <히트뉴스>는 바이오재팬 2023 현장에서 진행한 미니 인터뷰 4건을 정리한다.

아시아 국가에 구애하는 일본, 그리고 우리의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 시장에 진출하고 싶은 K-제약바이오의 이야기를 이날 참가한 4개 회사 △롯데바이오로직스 △온코크로스 △유한양행 △GC녹십자(가나다순) 관계자에게서 직접 들어봤다.

① 라이징스타가 보는 '일본, 갈 만합니까?
② 빅 전통 제약사의 옆나라 공략은 그린 라이트?

'왜 협력하려 하느냐'는 비판, 이제는 아니다

한일 협력, 상호 보완 측면에서 바라봐야

바이오 재팬에서 기회를 엿보는 곳은 새로 등장한 기업뿐은 아니었다. 국내 케미컬의약품의 대표격인 유한양행도 사흘 내내 일본은 물론, 글로벌 빅파마와 수 건의 미팅, 파트너링 논의를 진행하며 분주히 보냈다. 이 과정에는 신약 개발 및 사업 전문가인 이영미 부사장이 있었다. 바이오 재팬 마지막 날 만난 그는 이틀간 강행군에도 인터뷰 직전까지 미팅을 했다.

이 부사장은 일본 시장은 어느 정도 벽은 있지만, 한국의 장점을 더욱 끄집어내 줄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고 봤다. 상호 이해를 통한 협업은 국내 기업이 향후 더 큰 시장으로 발돋움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는 뜻으로 읽혔다.

 히트뉴스  이틀 동안 힘드셨을텐데, 가볍게 질문 드립니다. 바이오 재팬에 오신 계기는 무엇입니까?

 이영미 부사장(이영미)  회사가 개발 중인 알레르기 등 면역질환 치료제 YH35324와 함께 면역항암제 YH32367, YH32364의 성과를 바탕으로 회사들과 미팅, 그리고 파트너링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왔습니다. 바이오 재팬은 굉장히 활성화돼 있고 많은 바이오 벤처와 일본, 글로벌 제약사와 협업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바이오USA나 바이오유럽도 의미가 있지만, 바이오 재팬에서도 논의를 하려고 합니다. 

 히트뉴스  많은 일정을 소화하셨죠. 사실 일본이 국내 업체에게 어느 정도 구애의 미소를 지소 있잖아요. 그런데도 국내 업계는 기회만큼 벽도 있다고 합니다. 일본에 진출하려는 기업이 유념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일본에서 우리 기업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무엇인지 질문드립니다.

 이영미  먼저 문화의 벽입니다. 한국과 일본을 보면 문화적 요소가 많이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상당히 다르다고 느낍니다. 가령 일본 회사와 미팅 중 '예스'라는 대답을 들었을 때 그 것이 정말 '예스'의 의미인 것인지, '예스와 노의 중간'인 것인지 등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그들이 가지는 의사표현이나 이들이 내리는 결정의 과정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명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국내 제약기업이 일본 시장에 도전해야 할 이유는 있다고 봅니다. 일본은 한국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죠. 일본은 기초과학이 탄탄하게 구축된 곳이고, 신약 개발의 초기 단계가 잘 돼 있는 편입니다.

유한양행 이영미 부사장
유한양행 이영미 부사장

반면 한국은 다양한 벤처기업의 연구가 활성화됐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는데 한국의 강점이 있습니다. 대표적 예가 유한양행의 '렉라자'일 겁니다(실제 렉라자의 경우 오스코텍에서 라이선스 인을 통해 국내는 물론 얀센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는 대표적 오픈 이노베이션 품목으로 꼽힌다).

그렇게 서로가 채울 수 있는 장점을 찾아서 파트너링을 한다면 좀 더 시너지가 있을 것이라고 보입니다. 전에는 일본과 협업을 하려면 '왜 그곳이랑 협업하냐'는 말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지요.

 히트뉴스  일본 쪽 전문가들의 이야기에서도 과연 일본의 언어적 문제나 문화적 차이를 넘을 수 있을까? 과연 일본이 외국 회사에게 마음을 열어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봅니다. 국내 기업은 일본과 어느 정도 수준의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시나요?

 이영미  일본 제약회사와 협업은 문화 차이를 이해하는 데서 시작할 것 같습니다. 일본 내 글로벌 빅파마 등과 같이 협업하면서 이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신약 개발의 생태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이해하는 과정이 우선 필요하다고 봅니다. 일본에서 많은 공부를 한 사람이 한국 제약업계에 들어와서 개발에 참여하는 것도 이들 기업에 쉽게 다가가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사 역량, 신뢰도는 쌓였다

리스크 해소 위한 '증거' 필요할 때

주력 품목인 백신을 비롯해 오픈 이노베이션 등에 힘을 주며 기존과 현재를 아우르는 국내 대표 바이오제약기업인 GC녹십자는 바이오 재팬에서 다양한 기업과 파트너링 논의와 미팅을 진행하면서 새 기회를 엿봤다. 미니 인터뷰 이후에도 이들은 미팅과 더불어 부스 등 주요 행사를 관찰하며 아침부터 분주했다.

글로벌 빅파마 등과 논의를 진행하던 박상진 GC녹십자 오픈이노베이션팀 팀장은 일본에서 국내 기업이 가진 신뢰도를 기반으로 이들이 원하는 수준의 '기록'을 확충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전했다.

 히트뉴스  바이오 재팬을 통해 느낀 일본 바이오업계의 감상평을 요청합니다.

 박상진 팀장(박상진)  부스 같은 곳에서는 기술적 부분을 강조하는 측면이 조금 강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와 별개로 대학교에서 연구 내용을 포스터 발표하는 것도 봤습니다. (기초기술을 바탕으로) 산학 연계하는 작업 과정도 있었고요.

바이오 재팬을 보면 의약품 개발과 의료기기 등을 비롯해 일본 쪽이 시장을 하나의 '바이오 인더스트리'로 키우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더불어 국내에서 진행되는 많은 컨퍼런스나 파트너링 행사의 규모를 키우면 어떨까 했습니다.

 히트뉴스  GC녹십자는 국내를 비롯해 다양한 국가에서 파트너링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바이오 재팬에서 무엇을 하고, 어떤 목표를 가지고 왔나요?

 박상진  우리 회사는 라이선스 아웃과 파트너링 미팅이 주목적입니다. 현재 비임상 단계에 있는 개발품을 바탕으로 후속 임상 개발 등을 같이 할 수 있는지 논의하려 합니다. 물론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는 회사와 일본 진출 목적을 가진 주변의 회사들과의 미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바이오 재팬에서 미팅을 진행하면서 느낀 것이 있다면 과거 일본 기업들은 상업화 단계에 이르는 제품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에는 초기 연구개발(R&D)과 더불어 처음부터 글로벌로 병렬적 개발을 시도한다고 느꼈습니다.

GC녹십자 박상진 팀장
GC녹십자 박상진 팀장

 히트뉴스  여러 프로젝트를 다양하게 진행하시는 만큼 국내 기업이 일본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 역시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봅니다.

 박상진  일본은 기본적으로 기술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본 쪽에서는 어느 정도 우리 기업에 신뢰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사의 역량은 있다고 보지만, 일본 기업의 특수성이 있다고 봐요. 언어만 해도 (영어 등으로) 글로벌화돼 있고 어려움이 없는 듯 보이지만, 특유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 하나 느낀 것은 국내 기업이 가진 외국에서 레코드입니다. 이 회사가 일본만을 보는지 혹은 글로벌 개발을 할 수 있는 수준에 와 있는지, 어떤 기술적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이 수반이 돼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 기술력을 보는 신뢰도는 있지만, 개발 리스크를 우려하기도 합니다. 많은 벤처들이 국내에서 임상을 진행하고 해외로 나가는 경우가 있는데, 일본 진출을 생각한다면 외부에서 평가도 같이 보완이 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좀 더 이야기를 하면 해외에서 임상시험 혹은 동물실험을 하려고 해도 정작 시험 수행이 (이들 기업이 보기에) 미비한 경우가 있을 수 있거든요. 기업이 어느 수준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근거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객관적인 증거가 보완이 되면 구체화가 가능하고, 데이터 구축이 됐으니... (신뢰도를 더 얻을 수 있다).

일본 기업이 신약 개발의 역할과 관련해 보수적으로 생각하는 곳들도 있다는 점입니다. 공동 개발보다 각각 역할을 분리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런 부분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히트뉴스  그럼에도 최근 일본 기업과 투자처들은 한국을 보려는 경향이 조금씩 보입니다. 사실 일본 시장이 바이오 쪽에서는 어느 정도 협업에 매력을 느낄 부분이 있다고도 보이는데요?

 박상진  몇 년전부터도 바이오 분야에서 협업의 분위기는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글로벌 협업을 하면서 제조, 생산 등을 하고 규제나 R&D 등에서의 협력인 겁니다. 협력을 할 수 있다면 그리고 수요가 맞으면 협업을 하기에는 좋은 환경이라고 보여집니다. 일본 회사들도 적극적으로 한국 기업과의 파트너링 혹은 투자 가능성 등을 알아보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