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기종 칼럼 |
국민은 의료재정 더 부담... 의사는 혁신적 외래진료환경 약속

'3분 진료'가 우리나라 '외래진료 문화'의 대명사가 된 지 오래다. 우리나라 의사들은 환자의 진료차트를 확인하고, 환자로부터 증상이나 부작용 이야기를 듣고, 치료방법을 결정한 후 약을 처방하거나 검사를 지시하는 이 모든 과정을 3분 이내 할 수 있다. 외국 의사들은 "impossible, unbelievable, nusafe"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

우리나라 의사들이 진료차트 확인, 증상 및 부작용 청취, 치료 방법 결정, 약 처방 및 검사 지시 등의 일련의 행위를 3분 이내에 끝내는 '3분 진료'는 우리나라 의료의 자랑거리가 아니라 부끄러움이다. '3분 진료'는 필연적으로 의료의 질을 떨어뜨리고 환자 안전을 위협하기 때문에 환자의 안전하게 치료받을 권리를 침해하고, 의사 진료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3분 진료 문화'에 익숙한 우리니라 환자와 의사

우리나라에서 3분 진료가 가능한 이유는 외래진료 때 의사들이 환자들의 증상이나 부작용 이야기를 충분히 듣지 않기 때문이다. 환자의 경험을 경시하고, 진찰이나 검사 결과를 중시하는 우리나라 의사들의 진료 패턴은 진료실에서 환자와 눈을 마주치는 ‘아이 컨택(eye contact)’ 시간은 거의 없고, 진료 시간 내내 컴퓨터 모니터만 뚫어지게 쳐다보는 진료 풍경에서 쉽게 확인된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환자들은 3분 진료 문화에 익숙하다. 환자는 의사가 3분 이내에 진료를 모두 끝낼 수 있도록 진료실 밖에서 순서를 기다리며 자신의 증상이나 복용한 약의 부작용을 1분 이내로 설명하기 위해 준비한다. 1분 이내로 설명을 해야, 의사가 진찰이나 검사 지시를 하는 시간으로 1분을 쓰고, 환자에게 설명하는 시간으로 1분을 사용해야 3분 이내 모든 진료를 마칠 수 있기 때문이다.

환자가 진료실에 들어가 1분 이내로 설명하고 있는데 인내심 부족한 일부 의사들은 마치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는 표정과 억양으로 환자의 말을 도중에 끊어 버린다. 그리고는 컴퓨터 모니터를 보면서 일사천리로 약 처방과 검사 지시를 하고, 간호사는 다음 차례 환자를 부른다. 환자는 이렇게 의사로부터 하던 말이 끊겨 버리면 그때부터 머릿속이 하얗게 되고, 그 뒤 일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진료실 문을 열고 나온 뒤에서야 중요한 부작용이나 특이사항을 이야기하지 않았다는 사실과 지난 며칠 동안 궁금해 꼭 물어보고 싶었던 내용이 번갯불처럼 떠오른다. 그제야 간호사에게 의사 선생님 다시 만나게 해 달라며 옥신각신하는 모습을 우리나라 병원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진료실에서 진료 시간은 충분하게 보장되어야 하고, 환자의 경험을 잘 청취하는 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그래야 환자와 의사는 서로를 더욱 신뢰하게 되고, 불필요한 치료와 검사도 줄일 수 있고, 의료분쟁 또한 대폭 감소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3분 진료'로 대표되는 외래진료 환경 대개혁에 나서야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3분 진료'에 대한 환자와 의사의 불만이 커지자 2017년 9월부터 보건복지부는 중증·희귀난치질환자가 상급종합병원에서 적정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1시간 대기, 3분 진료' 형태에서 벗어나 15분간 심층진료를 시행하는 '상급종합병원 심층진찰 수가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일부 상급종합병원에서만 시행중이고, 시범사업이 5년째 계속되고 있다는 것은 아직까지도 검증해야할 문제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의료의 부끄러운 단면인 '3분 진료'를 청산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진료 시간과 함께 양질의 진료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은 의료비로 재정을 더 부담할 의사가 있어야 하고, 의사는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하고 양질의 진료를 담보할 수 있는 혁신적인 ‘외래진료 환경’을 국민에게 약속해야 한다. 진료실에서 적절한 시간과 양질의 진료가 동시에 담보될 수 있다면 환자와 의사 간 라포(rapport, 신뢰) 형성에 있어서 이보다 더 큰 우군은 없을 것이다. 정부에 우리나라 외래진료 환경의 대개혁을 요구한다.

필자 안기종씨는 한국백혈병환우회와 한국환자단체연합회에서 대표로 활동하고 있고, 환자들의 생생한 의료현장 이야기와 목소리를 세상에 알려 환자들의 투병환경 개선과 권익 증진을 위해 뛰고 있는 환자운동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