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억 KDDF 사업본부장, 정부 효율적 투자전략 제안

"미래 파이프라인 창출을 위한 정부의 투자전략과 방향을 제대로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당장 2~3년 이후 일도 예상하기 어려운데 10년을 내다본 투자전략을 세운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분명하다. 하지만 무엇을 하면 안된다는 점을 지적하기는 상대적으로 쉽다."

김태억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사업본부장은 27일 'KPBMA Brief 제 20호'에 '신약개발과 정부의 효율적 투자전략'을 주제로 정부는 연구개발 투자를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조언했다.

신약개발에 민간과 정부의 역할을 나눠보고 정부가 집중해야 할 투자방향을 고민해봐야 한다는 게 그의 의견. 정부는 제약기업 5년 투자 사이클 운영에 필요한 초기 파이프라인을 공급하는 역할과 제약산업 생태계 전반을 고도화해 글로벌 수준으로 높이는 데 필요한 지원사업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특히 김 본부장은 "초기 파이프라인 공급의 경우 시간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며 "정부가 투자해야 할 초기 파이프라인이 5년 뒤 기업으로 이전돼서 10년 후 시장 출시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부 연구개발 투자전략의 방향과 영역을 고려할 때 최소 10년을 내다봐야 한다"고 했다.

일례로 2011년 단백질을 활용한 면역관문억제제 시판허가로 전 세계 제약업계는 면역관문억제제 개발경쟁에 너도나도 뛰어들기 시작했다.

반면 미국 대학과 연구소는 CAR-T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었다. 수십년간 개발상황을 정리, 발표한 결과로 2017년 시판허가를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김 본부장은 "이를 통해 볼 수 있듯 제약업계와 대학 및 연구소 개발 흐름간 약 6년의 차이가 존재하며, 투자 방향과 영역 역시 다르다"고 했다.

정부가 "하면 안되는 투자"에 대해 김 본부장은 세 가지를 짚었다. 김 본부장은 먼저 "시장에서 이미 떠들썩하게 논의되는 연구영역에 대한 투자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이미 그 영역은 시장의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국내 제약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정영역의 단기적 지원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 연구개발 투자 영역을 결정할 땐 기업 수요나 사업화 모델과 연계시키는 것을 피해야 한다. 최근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가 강조돼 과제 지원 시 사업화 가능성을 고려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게 김 본부장의 견해다.

그는 "중장기 미래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이 고려해야 할 것은 의학적 미충적 수요지, 사업화에 대한 수요가 아니"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차원의 개방형 혁신"을 제약산업 연구개발 투자전략의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개방형 혁신은 자체 개발이 아니라 외부도입을 활성화하는 것이며 해외로 개방의 폭과 방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국내보다 해외로 개방의 폭과 방향을 잡아야 한다. 새로운 모달리티나 치료접근법을 개발하기 위해선 국내 대학, 연구소, 연구자들만을 대상으로 사업을 계획해서는 안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김 본부장은 "전 세계적으로 대형 프로젝트가 추진되지만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들다"며 "세계 시장을 주도하려면 국책 연구기관이 중심이 되는 국제 공동연구 대형 프로젝트 참여를 지원하거나 정부가 주도하는 신규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 개발을 과감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