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개발 면역증강제 사용한 리포좀 제형으로 LNP 단점 개선"
"체액성∙세포성 면역반응 높고 종양 형성 억제"
"리포플렉스 활용해 강력한 항암백신 만들 것"

차백신연구소(대표 염정선)는 독자개발한 면역증강제를 사용해 메신저리보핵산(mRNA) 전달체 '리포플렉스(Lipoplex)'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mRNA 백신ㆍ치료제는 타깃 바이러스의 유전체 정보만 알면 빠르게 설계ㆍ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수의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을 시작으로 독감ㆍ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 감염질환 백신과 항암 백신 등을 연구 중이다.

현재 mRNA 백신은 지질나노입자(Lipid Nano ParticleㆍLNP)를 전달체로 사용한다. 그러나 LNP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 초저온 상태를 유지해야만 유통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 간으로만 전달되는 특성이 있어 간독성에 따른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상용화된 LNP는 PEG(Polyethylene glycol) 성분을 사용하나, 불안정성으로 인해 아나필락시스 반응 등 과도한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여러 기업들이 LNP를 개량하거나, LNP가 아닌 다른 약물 전달체를 찾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리포플렉스는 리포좀(Liposome) 기반의 mRNA 전달체다. 리포좀을 구성하는 리피드(lipids) 제형을 최적화하고, 여기에 차백신연구소가 독자개발한 TLR2 기반의 면역증강제가 첨가됐다. 그 결과 타깃항원의 발현 효율이 증가했고, mRNA도 더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리포플렉스는 LNP에 첨가되는 PEG를 사용하지 않아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 리포좀은 동결건조가 가능해 별도 콜드체인을 구성할 필요 없이 상온에서 보관 및 유통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회사는 mRNA-리포플렉스 백신 제형을 동물에 주입했을 때 mRNA를 단독으로 투입했을 때보다 체액성 면역반응은 50배, 세포성 면역반응은 15배 증가한 것을 관찰했다. 피부암을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mRNA-리포플렉스 백신을 투여했을 때, 21일차에서 mRNA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종양 성장이 41% 억제됐다. 또 LNP 사용시 나타나는 간독성이나 다른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차백신연구소는 해당 연구 결과를 지난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 11회 국제 mRNA 헬스 콘퍼런스(International mRNA Health Conference)'에서 발표했다. 해당 콘퍼런스는 mRNA 치료제∙의약품에 대한 연구 현황을 공유하는 국제 학회다.

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는 "리포플렉스의 안정성과 전달력, 그리고 면역 증가효능 등을 활용해 항암백신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현재 LNP 관련 특허를 일부 글로벌 회사가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mRNA 백신 주권을 지키는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