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HIT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경험 없는데 관심 시들

"백신 연구의 특성상 개발 초기 단계부터 임상 3상까지 상당한 기간 및 예산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국책사업을 통한 정부 지원은 개발 초기 유효성을 확인하는 임상 단계까지만 지원이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후 임상 3상까지 투입되는 막대한 연구개발비를 자체 자금으로 충당할 수 있는 국내 연구개발(R&D) 기업은 거의 없습니다."

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 기업 관계자는 국내 백신 개발 과정에서 현실적인 문제점을 이렇게 말했다. 일본 다이이찌산쿄는 이달 초 코로나19 mRNA 백신 '다이치로나'를 후생노동성에서 승인받았다. 다이치로나는 일본 기업이 만든 최초의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이다. 이로써 일본은 mRNA 백신 주권을 확보하게 됐다.

일본 최초의 mRNA 백신 개발 배경에는 일본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1년 6월 국가 백신 개발 및 생산 전략을 채택, 5개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1700억엔(약 1조5360억원)을 투자했다. 또 백신 연구를 위한 인적 및 재정적 지원, 신속한 규제 프로세스 등을 추진해 왔다.

코로나19 mRNA 백신 주권을 확보한 일본과 달리 국내에서 mRNA 백신 개발은 더딘 상황이다. 올해 우리나라 정부의 신ㆍ변종 감염병 대응 mRNA 지원 사업 예산은 157억원에 불과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 예산으로 418억원이 책정됐지만, 실제 집행된 금액은 3억원에 불과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1조5000억원 이상을 투자했던 일본 정부와 대비되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R&D 예산 확충을 통해 대규모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 일회성 정책이 아닌 백신 주권 확보를 목표로 해야 한다. 미래 보건 예산을 감축할 수 있는 거시적 관점의 투자가 필요하다"며 "초기 R&D 단계 지원을 시작으로 임상시험, 인허가, 해외 인허가까지 단계별로 전주기 시스템에 대한 지원 정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리나라는 팬데믹 기간 재조합단백질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을 품었지만, 차세대 모달리티(Modalityㆍ치료 접근법)인 mRNA 기반의 백신 주권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다. 국내 바이오텍들이 글로벌 mRNA 백신 개발 레이스에서 더 이상 뒤처지지 않으려면,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R&D 예산 확대가 뒷받침돼야 한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