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신테카바이오와 손잡고 기존 약물에 흡입제 개발 나서
유나이티드, 천식 흡입치료제로 국내 임상 1상 승인
렘데시비르도 흡입제형 임상 진행 중
"코로나19 병기에 따라 흡입제형 유용성은 달라질 것"

최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전략 가운데 '흡입제형'을 선택, 개발에 나선 제약회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미사이언스와 신테카바이오의 신약재창출을 위한 '흡입제형' 개발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의 흡입형 천식 치료제 부데소나이드와 아포르모테롤의 복합 개량신약 ▷SK케미칼의 기관지천식 예방적치료제 '알베스코(시클레소니드)'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이미 긴급승인을 통해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는 길리어드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 역시 흡입제형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최근 다양한 제약회사들이 흡입제형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

그렇다면 흡입 제형이 다른 제형(주사, 경구용) 제제보다 코로나19 약물 효과를 더욱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왜 제약사들은 '흡입제형'으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나선 것일까요?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감염 과정과 연관돼 있는데요, 히트뉴스는 SARS-CoV-2의 특성에 비춰 흡입제형 코로나19 치료제가 왜 개발되고 있는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식 명칭은 'SARS-CoV-2', 감염증은 코로나19(COVID-19)입니다. SARS-CoV-2가 우리 몸 속에 들어오면 어떤 일이 벌이지는지 살펴볼까요?

아직 모든 것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SARS-CoV-2가 상기도(입, 코 등)를 통해 우리 몸 속에 들어오면, 우리 몸 속 세포들을 공격해 죽이고, 그 해당 신체기관은 제대로 된 기능을 하지 못 하게 됩니다. 흔히 이 바이러스가 상기도 감염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통해 어느 정도 감염을 막을 수 있다는 개념이 자리 잡았습니다.

우리 몸속도 SARS-CoV-2에 대항하기 위해 면역세포를 가동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가동된 면역세포가 오히려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사이토카인 폭풍’이라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현상으로 인해 폐에 염증이 생기고, 급성폐렴으로 이어집니다.

그렇다면 상기도(입, 코 등을) 통해 감염이 이뤄지는 것이니, 같은 통로로 약물이 전달되는 흡입제형 코로나19 치료제는 효과가 더 좋을까요? 이는 아직 단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닙니다. 이에 대한 의료진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상기도를 통해 감염된다는 보고가 다수 있어, 코로나 초기 환자에게는 흡입제 치료제가 유의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코로나19가 진행되면 전신에 퍼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 특별히 흡입제형이 유의미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특히 흡입제의 경우 경구제나 주사제에 비해 해당 약물이 원하는 타깃까지 전달되는 약물 농도가 미미하다는 한계도 있습니다. 흡입제형의 경우 코로나19 초기 환자 대처에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전문가의 말을 정리해 보면, 경증의 초기 환자 등 아직 온 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퍼지지 않았을 때, 흡입제형이 유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경구제나 주사제 대비 흡입제형은 기관지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해 길리어드사이언스는 지난 7월 병원 밖에서도 렘데시비를 투여할 수 있도록 흡입제형을 개발 중입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