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소비…약국 63.4%, 의료기관 36.6%?
심평원의 빅데이터 공개로 정확한 분석 가능

국내 의약품 유통일원화 비중이 드디어 2019년 90.1%를 기록해 90%대로 올라섰다. 2018년 89.6%보다 0.5% 늘어났다. 2016년 89.0%, 2017년 89.1%였으므로 89%대가 된지 3년 만의 일이다. 80%대와 90%대는 의미가 다르다. A학점과 B학점이 구분되는 것처럼 말이다. 90%대는 머지않아 100%를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1965년 이전 100%였던 비중이 당시 DSC(Donga Sales Circle)로 무너진 후, 1993년경 25% 수준으로 바닥을 쳤다. '그 100% 비중을 회복하는 과제'는 도매유통업계가 2010년까지 장장 45년간 제약과 도매유통 간의 역할분담론을 내세우는 숙원사업이 됐고, 제약회사의 종합병원 직거래 금지 규정이 폐지된 지 약 10년 만의 일이다. 

그런데도 오늘의 도매유통업계는 벌써 "그게 무슨 대수냐"로 함축되는 무심한 분위기다. 그토록 바라던 욕망이 거의 채워져서 그런지 보건복지부 앞마당에서 배고프다고 격렬하게 시위까지 벌였던 지난날을 너무 쉽게 잊어가는 것 같다. 기업사(史)의 무상인가.

이에 대해, 제약업계(수입 포함)의 요양기관 직거래 비중은 한자리수인 9.9%까지 낮아졌다. 최고 수준은 1993년 무렵 75% 언저리였다. 

유통일원화 비중이 다시 90%를 회복하게 된 주된 이유는, 1994년7월 '제약회사의 종합병원 직거래 금지 제도'와 2000년7월 '의약분업제도' 등의 시행 효과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외에 아이러니(irony) 하게도, 1997년1월 거대 외국 유통기업 '쥴릭파마'의 한국 진출로 크게 자극 받은 몇몇 토종 도매유통회사들이, 그 당시 지지부진하던 '의약품공동물류센터(물류조합)'의 대안으로, 개별 물류시설의 현대화·대형화에 투자한 것도 분명 유통일원화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2019년 의약품 소매유통은 약국 63.3%, 의료기관 36.7%로 나타났다. 매년 이 구조는 약간 들쑥날쑥하지만 이러한 기조는 2010년부터 10년 동안 별 변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2010년에도 약국 63.8%, 의료기관 36.2%였다.    

이러한 분석 자료들을, 뻥튀기 추계치가 아닌 실상 그대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나라는 아마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할 것 같다. 의약품 공급내역을 유통경로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보고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는 우리나라 밖에 없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이에 대한 빅데이타(Big Data)의 응축물인 '2019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집'을 2009년 창간한 이래 어느 해 보다도 가장 빨리 지난 15일 발간·배포했다. 

이는, 기업체는 물론 정부 및 기타 모든 유관 조직들이 이 자료집의 통계를 의약품 유통관련 정책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시간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의 발로라고 생각된다. 심평원이 잘한 일이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