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은 개인책임 26.2%… 의료비 가계 부담 30.6%

국민들이 보건당국에서 추진하는 건강정책 중요도 및 정책 만족도 등에 대한 의견을 표명했다. 이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강정책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이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지난 22일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이 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에서 발표됐다.

한국리서치가 유 교수팀의 문항 개발 지원을 받아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월 한 달간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강정책 분야는 '보건의료서비스의 질과 안전 보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강정책 분야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 발표 발췌)
국민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강정책 분야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 발표 발췌)

5점 척도로 중요성을 측정한 설문에서 평균 4.37점을 기록한 이 분야에 이어, '문케어'로 알려진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정책'(4.27),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하는 정책'(4.25), '미충족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가책임 및 정부투자 확대'(4.21), '고령화 저출산 등 급변하는 환경으로부터 건강을 유지·증진하도록 의료와 요양(돌봄) 서비스를 개선하는 정책'(4.19)이 뒤를 이었다.

이는 의료보험 보장성 강화, 의료서비스 국가책임 등 '의료의 접근성 확대'도 중요한 정책 영역이지만 '의료의 안전과 질'을 확보하는 게 가장 중요한 보건당국의 역할이라는 국민들의 생각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모든 사회 정책에 그 정책 결정이 초래할 수 있는 건강 영향을 고려하도록 부처 간 협력과 조율을 강화하는 정책적 노력은 Health in All Policies (HIAP)란 이름으로 국내 학계와 전문가 내부에서 중요성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나 '환경, 교육, 안보 등 국가의 모든 사회정책에 정책 결정이 초래할 수 있는 건강영향을 고려하도록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는 정책'(4.12점)이나 '건강정책 결정이 국민 의사를 보다 충실히 반영하도록 의사결정 구조와 과정 즉 거버넌스를 개선하는 정책' (4.06), '건강기술과 정보의 첨단화 및 부가가치 창출'(3.99)은 전체 평균 (4.14)보다 낮은 점수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정책이 갖춰야 할 요건
건강정책이 갖춰야 할 요건

이는 보건당국이 정책소통 노력을 더 많이 해야 할 지점들을 보여줬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건강 정책 수행 평가 기준이 될 '건강정책이 갖춰야 할 요건'을 묻는 질문에서는 '현장에서 효과를 낼 실질적인 정책 마련'이 69.4%로 가장 많았고 '즉각적인 문제 대응과 해결을 위한 신속한 정책 마련', '이해주체 간 갈등이나 저항이 많지 않은 수용성이 높은 정책 마련'이 각각 22.3, 8.3%로 뒤를 이었다. '정책의 실질성'을 중시하고 '대응의 신속성'을 다음으로 중요하게 보고 있다고 응답한 것이다.

건강 정책 만족도 조사에서는 '지난 정부의 건강정책과 비교했을 때'와 '목표 대비 달성도 측면'에서 각각 평균 3.29, 3.27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투입 자원 대비 산출 가치' 측면에서는 3.06으로 가장 낮았고, 정책에 대한 대국민 소통을 의미하는 '건강정책의 사회적 대화' 측면이 3.12를 기록해 그 다음으로 낮았다.

이번 조사에서는 응답자들이 실제로 얼마나 건강하다고 느끼는지, 의료비 부담을 얼마나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도 진행됐다. 

일반적인 건강 상태에 대한 질문에서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가 43.1%로 가장 많았고 '좋다' 34.5%(다소 좋다 29.8% 매우 좋다 4.7%), '나쁘다' 22.4%(다소 나쁘다 20.2%, 매우 나쁘다 2.2%)의 순으로 나타났다. 5명중 1명꼴로 스스로 건강 상태가 나쁘다고 답한 것이다.

'의료비의 가계 부담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부담을 안 준다' 31.5%와 '부담을 준다' 30.6%가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이다'는 가장 많은 37.9%가 응답했다. 이는 국민들의 30% 수준은 의료비가 가계에 부담을 줄 정도임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의료보험 보장성 강화와 이를 위한 건강 예산 증대와 관련 '건강이 누구의 책임인가'라는 질문에는 '개인 책임'을 응답한 사람이 57.8%로 가장 많았고 '반반'이 36.7%, '사회 책임'이 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는 '전적으로 개인책임'은 26.3%에 불과해 국민 4명중 3명은 건강 문제는 사회가 일부라도 책임을 부담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