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순 의원 "WHO 기준과 비교해 재검토 필요"

WHO 기준보다 낮게 책정된 국내 비만기준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낮은 기준이 섭식장애 환자와 식욕억제제 공급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3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보건복지위?서울송파병)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국내 비만 유병률’에 따르면 2017년도 비만유병률은 34.1%(남자 41.6%, 여자 25.6%)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0.7% 감소했으나, 2013년 31.8%와 비교하면 증가한 수치다.

남 의원은 “WHO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OECD 국가는 정상체중 기준을 체질량지수(BMI) 25㎏/㎡이하로 보는데, 우리나라는 23㎏/㎡ 이하로 분류하고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한국은 체질량지수 23~24.9㎏/㎡ 비만전단계, 25~34.9㎏/㎡ 비만(1단계/2단계), 35㎏/㎡이상 고도비만으로 본다. 반면 서구에서는 체질량지수 25~29.9㎏/㎡는 과체중으로 분류하고, 30㎏/㎡ 이상은 비만(1단계/2단계), 40㎏/㎡ 이상은 고도비만으로 기준을 정하고 있다.

남 의원은 “이렇게 비만기준이 다른 이유는 우리나라가 2000년 제정된 WPRO(WHO 서태평양지부) 비만기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WPRO는 2011년부터 WHO와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고 했다.

남 의원은 이어“식사장애(섭식장애) 환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여성이 4배 이상 많고, 식욕억제제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건 날씬함이 아름다움의 기준으로 강하게 작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특히 국제 기준보다 낮은 국내 비만기준이 이를 부추기는 것이 아닌가 의심이 든다”면서 “정상 체중 기준, 비만 기준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 최근 5년간 식사장애(섭식장애)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3만8,469명으로, 2014년 7,261명에 비해 2018년 8,316명으로 14.5%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은 6,998명(18.2%), 여성은 3만1,471명(81.8%)으로 여성 환자가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5년간 식욕억제제 공급내역을 보면, 식욕억제제 공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8년 한해 식욕억제제의 공급금액이 약 2,01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