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생명과학, RNA 핵심 원료 '포스포아미다이트' 공급
연속공정 시스템 활용, 다품종, 스위처블 생산 가능 차세대 공정 연구중 바이오와 케미컬 사업 ‘투트랙’ 전략 가속화
코오롱생명과학(대표 김선진)이 신규 리보핵산(RNA) 치료제 핵심 원료인 '포스포아미다이트(Phosphoramidite)'를 확보하고, 고분자 의약품 사업 확장에 본격 착수했다고 26일 밝혔다.
회사는 RNA 기반 치료제 시장의 급성장 흐름에 맞춰 핵심 원료의약품 생산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글로벌 파트너십 확보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포스포아미다이트는 소형간섭RNA(siRNA)·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등 RNA 치료제 합성 과정에서 필요한 핵심 원료다. 구조적으로 변형된 포스포아미다이트는 ASO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체내 분해효소인 뉴클레아제(nuclease)에 대한 내성을 강화해 약물의 지속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회사 관계자는 "다년간 축적한 원료의약품(API)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포스포아미다이트를 공급한다. 현재 연속공정 시스템을 활용해 다품종, 스위처블(switchable) 생산이 가능한 차별화 공정 개발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이 같은 독자적 생산 역량을 앞세워 고분자 의약품 시장에서 제품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고객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조사기관 이벨류에이트 파마(Evaluate Pharma)에 따르면, 글로벌 RNA 치료제 시장은 2024년 약 44억달러(USD)에서 2030년 약 266억달러로, 약 35%의 연평균성장률(CAGR)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API와 특수화학소재를 공급하는 케미컬 사업에서도 견조한 실적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는 입장이다. 올 들어 케미컬 부문 실적이 뚜렷하게 개선되며, 바이오와 케미컬 양축 구조의 균형성과 사업 안정성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회사는 이 같은 사업 기반을 토대로 글로벌 파트너십을 적극 확대하고, RNA 치료제 원료 공급망에서 전략적 입지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선진 코오롱생명과학 대표는 "RNA 기반 치료제 시장은 향후 수년간 가장 빠르게 성장할 의약품 영역 중 하나"라며 "코오롱생명과학은 안정적 생산 인프라와 경제성, 고품질 기준을 모두 갖춘 만큼 글로벌 고객사와의 협업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오롱생명과학은 지난 11~13일(현지시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유럽 RNA 전문 학회 'TIDES EUROPE 2025'에서 포스포아미다이트를 해외 시장에 처음 소개했다. 회사는 이번 학회 참가를 계기로 해외 RNA 치료제 개발사와의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글로벌 영업 활동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