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국가독성과학연, 업무협약
첨단재생의료 기술개발과 비임상 독성시험 협력체계 구축 기술개발 초기부터 안전성 검증과 상용화 촉진 협력 강화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사업단장 조인호, 이하 사업단)은 국가독성과학연구소(연구소장 허정두, 이하 KIT)와 재생의료 분야 기술개발 및 비임상독성시험을 위한 상호 교류와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두 기관은 17일 오후 4시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대회의실에서 조인호 사업단장과 허정두 소장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을 계기로 두 기관은 첨단재생의료 기술개발 분야의 비임상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긴밀한 협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주요 협력분야는 ①재생의료 분야의 기술개발 연계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②재생의료 분야의 비임상독성시험을 위한 협력 ③연구개발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인력, 시설, 기술 등 상호교류 등이다.
사업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재생의료 원천핵심기술 확보와 임상 연계를 통한 재생의료 치료제․치료기술 확보를 위해 10년 간('21~'30) 5955억 원 규모를 투자하는 연구개발(R&D)사업의 기획·관리기관으로 '21년 3월 출범해 현재까지 201개 과제를 선정, 지원하고 있다.
KIT는 20여 년간 국내 독성연구 분야를 선도해 온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신약 개발 과정에서 요구되는 안전성 평가 분야에 특화된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갖추고 있다. 국내외 생명·의약·환경 관련 산업에서 화학물질과 제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과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조인호 사업단장은 "첨단재생의료 치료제 및 치료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과학적 타당성과 함께 안전성을 입증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독성평가 전문기관인 KIT와의 연계를 강화해 상용화 기반을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허정두 소장은 "재생의료 기술은 미래 의료의 핵심 분야로, 초기 개발 단계부터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재생의료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산업화 촉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