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채용] 대웅제약, 비보존제약, 한국유니온제약, 유바이오로직스

제약바이오 경력직 채용정보 (2024/07/18)

2024-07-19     김민지 인턴기자

대웅제약 신규플랫폼 제제연구(~7/28일)

신규 기술 플랫폼 제형 연구 및 구축, API 가용화 및 약물 전달 디바이스 연구, 공장으로의 제조 공정 기술 이전 및 스케일업 연구, CTD 작성, 시장성ㆍ확장성 있는 신규 기술 및 제형 검토를 통한 제품화 업무 등을 담당한다. 약학ㆍ생명ㆍ화학ㆍ고분자 등 제약 관련 전공자로 석사 이상 학력, 제제 연구 경력 3년 이상 필요하다. 우대 사항에는 약사, 약학ㆍ생명ㆍ화학 등의 전문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 영어 능통자가 있다.

비보존제약 품질관리(~9/14일)

품질관리시스템 운영 및 관리, 이화학ㆍ기기분석 및 유지관리 보수, 밸리데이션, 불순물 지침 시험 관리, 의동시험 관리, 안정성 시험 관리, 환경 모니터링 업무를 담당한다. 대학 전문학사 졸업 이상으로 경력 3~10년인 사람을 뽑는다. 우대 사항에는 화학ㆍ생명공학ㆍ제약공학 등 관련학과 전공자, GMP 관련 이해도가 높은 사람, 외국어 역량 보유자가 있다.

비보존제약 마케팅(~9/14일)

의약품 학술 업무, 팸플릿 제작, 학술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대학원 학사 졸업 이상으로 경력 3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약학ㆍ간호학ㆍ생물학 등 관련 전공자, MSL 또는 학술업무 경험자, 제약ㆍ의료업계 종사자가 있다.

비보존제약 연구기획(~9/14일)

의약품 신제품 탐색 및 개발제안, 신제품 개발 일정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대학교 학사 이상 졸업자로 경력 2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약학ㆍ화학ㆍ생명과학ㆍ제약학ㆍ생명공학 등 관련 전공자가 있다.

한국유니온제약 품질보증(~8/16일)

밸리데이션 파트와 GMP 시스템 파트 부분을 모집한다. 대학 졸업 이상으로 모집분야별 경력 2~5년을 보유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완제의약품 적격성 평가ㆍ밸리데이션ㆍQMSㆍDI 업무 경험자, 품질업무 관련 자격증 소지자, 영어 문서 작성 및 회화 가능자, 이화학ㆍ생물ㆍ환경ㆍ미생물ㆍ제약공학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가 있다.

유바이오로직스 품질관리(~8/17일)

원자재ㆍ제조용수ㆍpHㆍ불용성 미립자 시험, 미생물 시험, QC 시험일지 및 성적서, 적격성평가, 제조지시 및 기록서, GMP 문서 작성, SOP, 시험 관리 업무 등을 담당한다. 전문대나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인 사람을 뽑는다. 생화학ㆍ면역학ㆍ생물학ㆍ제약 관련 전공자, GMP 품질관리 경험자(제약회사 경력 5년 이상 보유자), GMP 관련 교육 수료자, 영어회화 가능자를 우대한다.

옵투스제약 OTC BM(~7/28일)

OTC 마케팅 기획 및 집행, 유통 정책 수립 및 관리, P&L 관리, 신제품 개발 업무를 담당한다. OTC 마케팅 및 영업 유사 경력 5년 이상 보유자로 대졸 이상 학력을 보유해야 한다. 제약영업ㆍ의료기기ㆍ헬스케어 등 제약업계 경력 보유자를 우대한다.

한국팜비오 주사제ㆍ액제 연구원(~7/28일)

주사제 연구, 액제 연구, 허가서류 및 CTD 작성 업무를 담당한다. 약학ㆍ제약학ㆍ화학 등 제약 관련 전공자로 석사 이상 학위를 보유해야 한다. 주사제ㆍ액제 연구 경력자로 5~10년 경력이 필요하다.

엔지켐생명과학 전략개발 기획(~7/31일)

R&D 전략 수립 및 사업화 추진 업무 지원, 시장 기술 동향 조사ㆍ정리 업무, 신규 사업ㆍ파이프라인 발굴 업무 지원, 대내외 협력 업무, 연구 관리 및 지원, IR 자료 기획 및 제작 업무를 담당한다.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등 관련 전공자로 석사 이상 학력, 경력 2~5년 보유해야 한다. 전략기획ㆍ전략개발 업무 경력, IR 업무 경력, 제약바이오 관련 기업 근무 경험이 필수다. 우대 사항에는 영어ㆍ제2외국어 가능자, 문서 작성 및 디자인툴ㆍ챗GPT 활용 가능자 등이 있다.

이루다 RA 인허가(~9/15일)

의료기기 국내 허가 획득 및 유지 관리, 유럽 CEㆍ미국 FDAㆍ중국 NMPA 등 주요 국가별 허가 획득 및 유지 관리, 기술문서 작성 및 관리, 인허가 심사대응 및 사후관리, 국내외 규격 등 모니터링 업무를 담당한다. 초대졸 이상인 사람으로 경력 1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의료기기 관련 학과 전공자, 의료기기 RA 전문 자격 보유자, 의료기기 관련 업무 경력자, 인허가 업무 관련 교육 이수자, 비즈니스 영어 가능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