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AB 신약개발' 온코닉테라퓨틱스, 기평 통과…"연내 코스닥 상장"
신약 통해 안정적 캐시카우 확보… 실제 매출 및 수익 실현 가능 연구개발 재투자로 지속 가능한 성장의 선순환 구조 이룰 것
온코닉테라퓨틱스(대표 김존ㆍ이하 온코닉)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문평가기관은 나이스평가정보와 한국발명진흥회이며, 각각 'A' 등급과 'BBB' 등급을 받았다.
최근 상장 기준 요건이 까다로워지면서 평가기관들 또한 눈높이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온코닉은 핵심 기술에 대한 완성도, 우위성, 사업화 역량 및 미래 성장 가능성 등 다방면에 걸쳐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특히 주요 파이프라인인 P-CAB 계열 신약 '자스타프라잔'이 지난해 3월 1억2750만달러(약 1600억원) 규모의 기술수출(L/O) 계약을 체결한 점과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지난해 6월 신약허가승인(NDA)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함에 따라 기술의 완성도 및 사업성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받는데 주효했다고 회사 측은 분석했다.
온코닉은 제일약품을 비롯해 국내 유수의 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탈(VC)들과 주요 국책 은행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바이오 투자 심리 빙하기였던 지난 2022년 26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하며, 누적 투자금 560억원을 확보해 이미 시장에서 그 기술성 및 사업성을 인정받았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온코닉의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자스타프라잔(개발코드명 OCN-101 / JP-1366) △PARPㆍTankyrase 이중 저해 표적항암제인 네수파립(OCN-201 / JPI-547)을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항암 후보물질을 자체 연구 중이다.
자스타프라잔은 위식도 역류질환 등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이 기존 프로톤 펌프 저해제(PPI) 제제에서 P-CAB 제제로 빠르게 대체되며 급성장하고 있어 올해 허가가 완료될 경우 약 1조5000억원 규모의 소화성 궤양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온코닉은 코스닥 상장 추진을 통해 자스타프라잔과 네수파립의 적응증 확대와 함께 신규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 더욱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올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 수순을 밟을 예정이다. 대표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김존 온코닉테라퓨틱스 대표는 "이번 결과는 우리의 연구개발(R&D) 기술력과 다양한 성과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성을 가진 기업임을 인정받게 된 뜻 깊은 결과"라며 "코스닥 시장 상장 준비에 속도를 내 국내 바이오 산업의 신뢰를 한층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