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셀바이오 "간암치료제 임상 순항...신규 파이프라인 확대"
간암 치료제 Vax-NK/HCC 임상 2a상 진행...CAR-MILs 개발 도전 이제중 대표 "Vax-NK/HCC 2a상서 고무적 결과 얻어...임상 조기 종료 고려"
박셀바이오가 간암 치료제 Vax-NK/HCC 임상 2a상의 연구 결과, CAR-MILs 개발과 신규 파이프라인 확대 계획을 밝혔다.
현재 박셀바이오는 간암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간암 치료제 시장은 높은 미충족 수요(Unmet needs)와 치료제 개발 패러다임 변화로 전환기를 맞고 있다. 간암은 새로운 치료제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는 대표적 질환이다.
14일 박셀바이오 기업설명회서 이제중 대표이사는 "간암 Vax-NK/HCC 임상 2a상 연구가 매우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9월 초 국제학회를 통해 12명의 환자에 대한 예비연구결과를 발표했다"며 "완전반응(CR) 4명(33.3%)을 포함해 객관적 반응률(ORR) 66.7%, 질병 조절률(DCR) 100%라는 매우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고 임상 1상 연구와 비교해 더욱 높은 질병조절률의 결과를 도출해 조기 종료도 적극적으로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Vax-NK 플랫폼이란?
Vax-NK는 1세대 Vax-NK에서 출발해 현재 임상 연구 중인 2세대 Vax-NK와 차세대 NK 기반 혁신 치료제에 이용될 3세대 Vax-NK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2세대 Vax-NK 세포치료제는 한 번의 혈액채취로 10회 이상 투여분을 확보해 편의성을 증대했다. 3세대 Vax-NK 세포치료제는 기존 대비 강력한 Vax-NK 제조 및 생산기간을 10일로 단축할 수 있다. 지난 6월 국제특허(PCT) 출원을 완료한 상태다.
Vax-NK/HCC는 차별화된 탁월한 임상연구 디자인으로 뛰어난 항암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독창적 임상연구 프로토콜 설계로 차세대 기술을 적용시켜 약효를 극대화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안전성을 인정받아 임상 2a상에서 투여량 2배 사용을 승인받았다.
박셀바이오는 Vax-NK 플랫폼의 적응증 확대 계획도 밝혔다. 이 대표는 "그동안 응급임상을 통해 Vax-NK의 다른 고형암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를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진행성 췌장암 및 확장성 병기 소세포성폐암에 적용해 주력 파이프라인인 Vax-NK 플랫폼을 더욱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회사는 간암 이외 다양한 적응증을 타깃으로 한 면역항암치료제 플랫폼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이 대표는 "Vax-CAR 플랫폼을 활용해 고형암 타깃의 CAR-T, CAR-NK 파이프라인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CAR-MILs는 다발골수종을 타깃으로 한다"며 "회사는 2024년부터 본격적인 라이선스 아웃(L/O)과 조건부 허가로 상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Vax-NK 임상 2a상 연구에 대한 빠른 종료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Vax-CAR-T/NK 치료제는 차세대 모노바디 기술을 통해 기술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며 "2023년 임상 연구 진입 후 글로벌 L/O를 추진하고 있다. CAR-MILs를 통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다발골수종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박셀바이오에 큰 관심을 가져준 주주, 임직원, 관계자 등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간암 임상연구를 비롯해 다른 파이프라인 진행 속도를 높이고, 임상 연구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질의응답(Q&A)
Q. 타 업체의 NK 세포 증폭률이 더 높은 경우도 있는 데, 박셀바이오의 강점은 뭔가.
A. NK 세포의 배양은 기간에 따라 몇 만배 이상 증폭이 가능하지만, 증폭시킬수록 역가가 떨어지기 떄문에 이를 높게 유지하며 증폭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Vax-NK는 암세포를 잘 죽이는 살상능력과 높은 순도를 유지하면서 증폭이 가능하다. 지속적인 제조공정 개선을 통해 2세대 NK세포, 3세대 NK세포를 개발 완료했다.
Q. Vax-NK를 정맥투여가 아닌 HAIC(간동맥내 항암주입요법)로 하는 이유는?
A. 정맥 투여 시 전신으로 퍼져서 간암 부위에 도달하는 NK세포가 적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HAIC 요법을 통해 암이 발병한 부위인 간으로 항암제를 직접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Q. Vax-NK/HCC 임상 2a상 종료 후 임상 계획은?
현재 전국 5개 대학병원에서 임상 2a상 연구를 진행 중이다. 최근 전체 20명 환자 중 15명 환자의 등록이 완료됐다. 차질 없이 진행될 경우 2023년 내에 (2a상이) 완료될 예정이다. 임상 2a상이 종료된 후 전문가 및 식약처와 논의하고, 회사 전략에 따라 임상 2b상 또는 임상 3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Q. Vax-CAR-T 세포치료제의 임상 진입 시기는?
현재 고형암 및 혈액암을 대상으로 Vax-CAR-T 세포치료제 및 Vax-CAR-NK 세포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비임상시험을 통해 효능을 확인했다. 2023년 임상연구 진입을 목표로 현재 TF팀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