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력 갖춘 삼성, SK, LG 등 투자시장에서 더 적극적 역할 기대

국회, 글로벌 제약산업의 위기와 대응, 우리나라는 무엇을 해야 하나?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 자본력을 보유한 대기업 계열사 중심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구체적으로는 제약산업이 뛰어든 삼성, SK, LG가 주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했다.

또 NRDO(No Research & Development Only), RIPCO(Research Intensive Pharmaceutical Company)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 해야 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어 신약 후보 물질 기술 도입 및 인수합병(M&A) 활성화를 위해 자금 조달, 기술 평가, M&A 자문하는 데 있어 세금 혜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승호 데일리 파트너스 대표는 17일 오후 오제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주최한 ‘글로벌 제약산업의 위기와 대응, 우리나라는 무엇을 해아하나?-제약산업 도약을 위한 신산업정책의 필요성’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승호 데일리 파트너스 대표는 17일 오후 오제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주최한 정책포럼 ‘글로벌 제약산업의 위기와 대응, 우리나라는 무엇을 해아하나?-제약산업 도약을 위한 신산업정책의 필요성’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이 대표는 국내 헬스케어 시장에서 오픈이노베이션과 관련해 대기업의 헬스케어 산업 투자, 인수합병(M&A), 바이오벤처 투자 사례를 들어 소개했다.

▶대기업의 헬스케어 투자=SK주식회사가 100% 지분을 출자한 만든 회사가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텍이다. SK바이오팜은 인공지능 신약개발 회사 투자아(twoXAR)와 공동신약개발 추진하고 있다. 또 SK바이오텍은 BMS 아일랜드의 제조설비를 인수해 글로벌 합성의약품 CDMO(제약/바이오 위탁개발 및 생산업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그는 SK바이오텍의 BMS 아일랜드 제조설비 인수와 관련해 “글로벌 제약사의 의약품 제조 노하우와 트랙레코드를 흡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대규모 설비 확보를 통해 실적 성장과 규모 경제 측면에서 가치가 있어 보인다”고 했다.

이밖에 삼성바이오에스는 다케다제약과 급성 췌장염 신약후보 물질을 공동개발하고 있으며, LG화학은 미국 바이오벤처에 1조원을 투자해 면역항암제 기술을 사들였고, 영국 바이오벤처와는 기존 항체의약품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단백질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그는 “자본력을 보유한 대기업 계열사가 신약후보물질을 도입하거나 인수합병(M&A) 중심으로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취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신약후보물질 기술 도입이나 M&A를 목적으로 한 사모펀드 역할도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인수합병(M&A)=이 대표는 국내 제약업계의 대표적인 규모경제 중심의 M&A 사례로 CJ헬스케어와 콜마의 인수합병 사례를 소개했다. 약 1조 3100억원 규모로 이뤄진 이번 인수합병은 제네릭과 의약품위탁생산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해온 한국콜마 입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의약품 시장에 진출해 중장기 매출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한국콜마는 이번 인수합병을 통해 기존 제네릭 의약품 위탁생산 위주의 사업모델에서 신약 및 수액 제제까지 사업영역을 확자했다”며 “중장기 이익률 상승 요소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GC녹십자는 항암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이노셀을 인수합병했다. 이를 위해 GC녹십자는 150억원으로 지분 23.5%를 확보하고, 간암 면역세포치료제 이뮨셀-LC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게 됐다. 대웅제약 역시 한올바이오파마를 약 1046억원 규모로 인수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빈약했던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을 강화했고, 이는 실제로 2017년 안구건조증 신약 파이프라인을 미국 로이반트에 5억 250만달러로 기술수출하는 사례로 이어졌다.

그는 “녹십자가 이뮨셀을 인수하면서 항암세포치료제 매출이 인수합병 이전인 2011년에는 9억원에 그쳤지만 2015년 101억원으로 늘었다.”고 했다. 이어 “이러한 매출 결과는 시가총액 상승으로 이어져 2011년말 이노셀의 시총은 1360억원이었지만 인수합병후 녹십자셀의 시총은 5328억원으로 급상승했다”고 했다.

또 그는 대웅제약 인수합병과 관련해 “한올바이오파마와 대웅제약은 기술수출을 통해 파이플라인 개발 진전이 이뤄지면서 시가총액이 동반 상승하는 효과를 얻었다.”고 했다.

한독과 휴온스는 새로운 산업에 진출하기 위해 인수합병을 한 사례로 소개됐다.

한독은 태평양제약을 인수합병해 케토톱을 비롯한 일반의약품 사업을 확보했다. 휴온스는 한약마을을 인수합병해 히알론산성분 관절염치료제와 필러, 보툴리눔톡신 산업으로 확장했다.

그는 “한독은 기존 의약품 사업과 태평약제약의 영업 시너지 효과를 통해 일반의약품사업부 성장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신약 연구개발 자금을 충당할 캐시카우를 확보해 2014년부터 제넥신, 네오이뮨텍 등 바이오텍과 신약 공동개발 및 지분투자를 진행하게 됐다”고 했다. 이어 “이런 이유로 한독은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신약 개발 진저에 따른 시가총액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했다.

또 “휴온스 역시 한약마을을 인수해 히알론산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 등 뷰티 사업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며 “휴온스는 매년 사상 최대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지만 R&D 투자 확대로 수익성은 정체됐으나 2014년 공모가 시총(1737억원)과 비교해 현재까지 높은 시총(2752억원)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국내외 바이오벤처 투자=국내 제약사는 국내외 바이오벤처 투자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 해외 바이오벤처부터 살펴보면, 한독과 제넥신은 레졸루트에 약 280억원 규모를 투자해 54%의 지분을 갖고 있다. 유한양행은 소렌토와 네오이뮨테크에 각각 121억원, 35억원을 투자해 3.5%, 11.4%의 지분율을 갖고 있다. 또 한미약품은 스펙트럼, 아테넥스, 알레그로에 각각 31억원, 151억원, 217억원을 투자해 0.32%, 2.28%, 11.85%의 지분을 갖고 있다.

국내 제약회사별 해외 바이오회사 지분 투자

또 국내 제약사는 국내 바이오벤처와도 공동개발, 지분투자, 기술도입 등을 통해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한양행은 제넥신, 오스코텍, 테라젠이텍스, 바이오니아, 파맵신 등과 파트너 관계를 맺어 국내 제약사 중 가장 많은 바이오벤처와 오프이노베이션 전략을 취하고 있다. GC녹십자는 제넥신, 바이오리더스, 마크로제닉스, 아르고스, 레코켐바이오 등과 관계를 맺고 있다.

국내 제약회사별 국내 바이오벤처 지분 투자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