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세대, 만성 간질환자 등 고위험군의 백신접종 필수

지난 주말부터 주요 포털사이트 급상승 검색어 상단에 A형간염, A형간염 예방접종 등이 등장하며 A형간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올해 초부터 심상치 않았던 A형간염 환자 수가 3월에 1000명을 돌파했기 때문이다. 이에 GSK(한국법인 사장 줄리엔 샘슨)는 국내 A형간염의 유행을 막기 위한 필수 정보 알리기에 나섰다.

◆올해에도 A형간염 확산 중심은 항체 보유율 낮아지고 있는 30~40대

A형간염은A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간염으로, 주로 감염자와의 신체 접촉,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 혈액매개, 성접촉 등 다양한 통로로 감염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확인된 A형간염 발생 환자만 총 3758명(2019.04.30 신고 기준)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환자 수(2436건)를 넘어서 전국적 유행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올해에도 신고된 A형간염 환자 10명 중 7명은 30~40대로 확인된다. 30~40대는 국내에 백신이 보급되기 시작한 1997년에 이미 청소년기를 보냈다. 이들은 국내 위생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A형간염 항체를 자연스럽게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다른 연령대보다 현저히 적었기 때문에 매년 A형간염의 유행의 중심에 있다.

실제로 2005~2014년 10년간 전국 A형간염 항체 보유율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05년 69.6%였던 30대의 A형간염 항체 보유율은 2014년 32.4%로 하락, 40대는 2005년 97.9%에서 2014년 79.3%로 10년 새 크게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A형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30~40대는 A형간염 예방을 위해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성 간질환자 등 A형간염 고위험군은 전격성 간염까지 이어질 수 있어 백신 접종 권장

A형간염은 감염 후 15~50일의 잠복기를 걸쳐 증상이 나타난다. 무증상으로 지나가거나 피로, 발열, 구토, 식욕부진, 복부 불쾌감, 황달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대체로 2개월을 넘지 않지만, 성인의 경우 급성 간염으로 나타나 한달 이상 입원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B형간염 보유자 등 만성 간질환자의 경우에는 A형간염이 발생하면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A형간염은 개발된 치료제가 없어, 끓인 물 마시기, 음식 익혀먹기, 위생적인 조리과정 준수, 올바른 손씻기 등 A형간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 백신 접종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예방접종은 가장 확실한 A형간염 예방법이다.

GSK의 A형간염 백신인 ‘하브릭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차 백신 접종 후 2주째에 약 85% 항체가 형성되며, 19일 후에는 100%에 가까운 방어 항체가 생긴 것으로 확인됐다3.

A형간염 백신은 총 2회에 걸쳐 접종하며, 1차 접종 후 6~12개월 또는 6~18개월 이후에 2차 접종을 받으면 된다. 40세 미만에서는 항체검사 없이 모두에게, 40세 이상에서는 항체검사를 실시하여 항체가 없는 경우 예방접종이 권고된다. 그 밖에도 A형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만성 간질환자, 외식업종사자, 의료인, 최근 2주 이내에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 등 A형간염 고위험군에 속하는 성인에게 예방접종이 권고된다.

GSK의 백신사업부 정현주 본부장은 “봄·여름에 특히 유행하는 감염병인 A형간염의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고위험군의 백신접종이 중요하다”며 “GSK는 많은 사람들이 A형 감염을 사전에 예방해 건강한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백신 분야에서 쌓아온 리더십을 바탕으로 성인, 특히 고위험군의 A형간염 접종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